![]() |
모스타르(Mostar).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에 있는 네레트바 강 깊은 계곡에 우뚝 솟은 역사적인 도시로, 옛 터키 양식 주택과 ‘스타리 모스트(Stari Most)’라는 오래된 다리로 유명하다. |

주차장에 차를 세워놓고 호텔 안으로 들어서니, 아름다운 아가씨가 걱정했다며 반갑게 맞이한다. 순간 긴장감이 풀리고 굳어진 얼굴에 미소가 떠오르려는 찰나, 멈칫했다. 프런트 데스크 뒤 사무실에서 나온 남자분 하얀 윗옷에는 한쪽 팔이 없는 것이다. 당황한 표정을 들키지 않으려고 애쓰는 것이 보였는지 아가씨가 아빠라 소개한다. 밝게 웃으며 ‘모스타르의 역사를 알지?’라며 내 눈을 맞추고 서류를 작성한다. 아름다운 중세도시 모스타르를 할퀴었던 내전의 아픔이 고스란히 전해지는 듯하다. 놀라움과 피곤함으로 얼른 열쇠를 받아들고 방으로 향했다.
![]() |
모스타르 관광지. 도시 전체가 오스만 제국 이전 건축, 동오스만제국 건축, 지중해와 서유럽 건축양식 등 여러 문화가 어우러져 있다. |

유럽 동남쪽에 있는 하트 모양의 땅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는 동서양 문명이 만나고 충돌하는 길고 매혹적인 역사를 품고 있다. 우리에게 ‘보스니아’로 익숙한 이 나라는 5만㎢가 조금 넘는 규모로, 물을 의미하는 고대 인도유럽어 ‘보사나(Bosana)’에서 이름이 유래했다고 한다. 동쪽과 남동쪽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북쪽과 서쪽은 크로아티아와 접한다.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는 민족보다는 지명을 지칭하는 말로, 보스니아인·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의 세 민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정치적으로 보스니아인과 크로아티아인 중심의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연방과 세르비아인 중심의 스릅스카 공화국으로 사실상 나뉘어 있다고 한다. 옛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을 구성하는 여섯 개 공화국 가운데 하나였으나 1990년대에 유고슬라비아 전쟁 시기에 독립을 얻었다.
![]() |
모스트. 오스만 제국 지배를 받던 동안에 건설된 것으로 푸른 강을 건너는 아치형 석조 다리이다. 1993년 11월 트리아티아군의 대규모 공격에 심히게 손상됐다가 이후 폭격에 완전히 파괴되었다. |

아름다운 다리는 1993년 11월 트리아티아군의 대규모 공격에 심하게 손상됐다가 이후 포격에 완전히 파괴되었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정부는 다리가 무너진 9월 11일을 국가 기념일로 정했으며, 유네스코 지원으로 복원된 다리는 2005년 세계역사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다리 중심으로 도시 전체가 오스만 제국 이전 건축, 동오스만제국 건축, 지중해와 서유럽 건축양식 등 여러 문화가 어우러진 훌륭한 본보기라고 한다. 특히, 오늘날 국제적인 협력과 다양한 문화적·민족적·종교적 공동체의 공존과 화해의 상징으로 거듭나고 있다.
1993년, 탱크 포격으로 다리가 붕괴되었을 때 현장에 있었다는 호텔 주인 아저씨는 내전 때 다친 부상만큼 당시를 심장을 찢는 아픔이라고 표현했다. 도시와 나라 전체를 상징하는 아픔은 네레트바 강 바닥에 잠긴 다리 조각과 함께 눈물로 묻었다고 한다. 지금은 관광객을 받으며 지나간 과거로 이야기되지만. 이 지역 모든 사람들에게는 ‘심장에 가둔 돌’이라 설명해 준다.
![]() |
유네스코 지원으로 복원된 다리는 2005년 세계역사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24m 높이의 강으로 뛰어 내리는 대회는 1664년 처음으로 개최되어 다리가 복원된 지금까지 계속된다. |

![]() |
올드 바자르. 가파른 언덕에 구불구불한 좁은 도로를 따라 이어진 옛 시가지는 다양한 문화적·민족적·종교적 배경을 보여준다. |
![]() |
구시가지에서 만난 사람들. 도시에는 무역소와 공예품 건물들이 자리하고 특별히 목재나 석재로 만들어진 상점과 석조 창고들이 길을 따라 들어서 있다. |
여행가·민트투어 대표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