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서 녹조 문제로 골치를 앓는 건 우리나라만이 아니다. 녹조처럼 사람과 동물에 해로운 조류가 번성하는 현상을 ‘유해조류번성’(HABs)이라고 하는데 세계 곳곳에서 HABs가 과거보다 자주, 더 오래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다.
미국에서는 조류 번성 기간이 30여 년 전인 1982년과 비교해 한 달 이상 길어졌다는 연구가 있다. 홍콩은 1977년 적조가 처음 나타났는데 10년 뒤인 1987년에는 연평균 35회로 급증하기도 했다. HABs를 일으키는 조류는 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인명을 앗아갈 만큼 치명적인 독소도 갖고 있다. 브라질에서는 유해조류에 오염된 물을 마시고 2000여 명이 병에 걸려 88명이 숨진 사례가 있다.
최근 들어 HABs가 늘어난 이유 중 대표적인 것이 화학비료 사용 증가다. 비료에 든 질소는 조류에 영양을 공급하는데 2010년 전 세계 질소비료 사용량은 1970년대에 비해 세 배 이상 늘었다. 중국과 인도 등 거대 신흥국의 사용량이 크게 늘었고, 우리나라도 농경지 1㏊당 비료 소비량이 2009년 4.29t에서 지난해 6.7t으로 껑충 뛰었다.
지구온난화도 HABs의 증가에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모든 조류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녹조를 일으키는 마이크로시스티스는 25∼35도의 고온에서 잘 자란다. 더운 날이 많아질수록 마이크로시스티스는 더 활개를 칠 것이다.
온도도 문제지만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그 자체도 문제다. 조류는 식물처럼 광합성을 위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공기와 물 속 이산화탄소가 늘면 성장 속도가 빨라진다.
HABs를 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해결책이 제시됐지만 조류의 번성을 따라잡지 못하는 수준이다. 전 세계 HABs 처리비용은 연간 145억달러(약 16조원)나 된다.
윤지로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