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찾아가는 노후 건축물 무료 안전점검’ 신청을 접수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안전점검은 지난 3일 붕괴된 용산구 한강로2가 4층 상가건물 사고의 후속조치로 마련됐다. 지어진 지 50년이 넘은 건물이 화재와 폭파 등 외력과 상관없이 갑자기 무너지면서 소규모 노후 건축물의 안전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주택산업연구원이 지난해 1월 기준으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내 주택 44만9064동 중 사용승인일 기준으로 30년이 넘은 노후주택은 37.2%(16만7019동)에 달했다. 이 중 단독주택 31만8440동의 노후주택 비율은 47.4%로 공동주택(12.3%)보다 30%포인트 높았다. 성북구 정릉동의 경우 전체 주택 중 노후 단독주택의 비율이 74.9%(2724동)로 단독주택이 밀집한 곳일수록 주택도 함께 노후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점검대상은 사용승인 후 30년 이상 된 10층 이하의 조적조 건물(벽돌과 콘크리트 블록 등으로 쌓아 올린 건물)이다. 아파트와 연립주택은 제외되며 연면적 1000㎡ 이하의 소규모 건축물만 신청 가능하다. 안전점검을 희망하는 건물 소유자 또는 관리자는 11일부터 오는 30일까지 시 홈페이지(http://seoul.go.kr)로 건물 주소와 사용승인연도, 신청사유 등을 작성해서 제출하면 된다.
시는 다음 달부터 전문가와 관련 공무원 등 50명으로 구성된 안전점검단을 현장에 파견해 건축물 상태를 육안으로 정밀 점검한다. 안전취약건물로 판단될 경우 추가 정밀점검을 시행해 구조체 보수·보강과 유지관리방안 등을 안내한다.
이밖에 붕괴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대형 공사장 주변 노후 건축물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점검을 오는 22일까지 실시한다. 대형 공사장 주변 4층 이하·40년 이상 건축물 90개소가 점검대상이다. 구청, 재건축·재개발 조합과 함께 정비구역 지정 10년이 넘은 182개 구역 내 소규모 노후 건축물에 대한 안전점검도 시행한다.
관내 노후 단독주택이 밀집한 성북구는 다음달 31일까지 정릉동과 장위동, 성북동 일대를 중심으로 노후 위험 건축물 6926동을 전수조사한다. 정비구역이 해제된 후 관리가 이뤄지지 않은 사각지대를 중심으로 건축물 안전을 3단계에 걸쳐 진단한다.
고인석 서울시 안전총괄본부장은 “안전 사각지대에 놓인 노후 건축물을 대상으로 안전점검을 대대적으로 실시해 위험요소를 제거하고 근본적인 재난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이창훈 기자 corazo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