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지하벙커 8m 관통 '타우러스 미사일' 400km 실거리 사격…F15K 전투기에서 발사

입력 : 2017-09-13 13:26:42 수정 : 2017-09-13 13:26:41

인쇄 메일 url 공유 - +

공군 F15K 전투기에서 발사된 타우러스 미사일이 고도 500m를 유지하면서 목표를 향해 비행하고 있다. 사진=공군 제공

지하벙커 8m까지 관통할 수 있는 가공할 위력을 갖춘 타우러스(TAURUS) 장거리 공대지 유도미사일 실사격 훈련이 실시돼 400km를 자력비행한 끝에 표적을 정확히 타격했다고 13일 공군이 밝혔다.

킬 체인 핵심 전력 중 하나인 타우러스 미사일을 실사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400km 실사격 성공은 대전 상공의 F-15K 전투기에서 발사해도 평양의 북한 지도부 핵심 시설을 정밀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는 의미이다.

공군에 따르면 지난 12일 충남 태안반도 인근 서해 상공으로 출격한 F-15K에서 발사된 타우러스가 자체 항법 선회 비행을 통해 약 400㎞를 날아가 목표지점인 전북 군산 앞바다에 있는 직도사격장 표적을 정밀 타격했다.

타우러스는 최대사거리가 500㎞ 이상이지만, 직도사격장 주변 환경과 안전을 고려해 비행 거리를 약 400㎞로 조정했다.

이에 따라 태안 인근 서해 상공의 F-15K에서 발사된 타우러스는 군산 앞 직도사격장 상공을 돌아 발사지점까지 오는 방식으로 약 2바퀴를 돈 다음 직도사격장의 타깃에 명중했다.

1500m 상공에서 발사된 타우러스는 하강해 고도 500m로 비행하다가 직도사격장 근처에서 3000m까지 급상승한 뒤 거의 수직으로 낙하해 목표지점에 명중했다. 

타우러스 미사일을 장착한 우리 공군 전투기 모습. 사진=공군 제공

공군과 방위사업청은 적의 위협지역 내 핵심시설을 타격하는 능력을 검증하고자 공중에 장애물을 미리 설치해놨으며 타우러스는 이를 피해 저고도로 고속 순항 비행한 후 목표물을 타격했다.

처음 진행된 이번 실사격은 F-15K 전투기와 타우러스 미사일 간의 체계통합, 전투기에서 안전 분리 확인 등 운용 능력을 최종적으로 검증하고자 계획됐다.

안전을 고려해 비활성탄(폭약만 제거해 폭발성은 없음)을 사용했다.

또 해군과 해경의 협조를 받아 비행구역 아래 해상의 민간 어선 등의 안전을 위해 안전구역을 설정하고 사전에 대피토록 했다.

타우러스는 북한의 도발 징후가 포착되면 적 방공망의 사거리를 벗어난 후방지역에서 발사해 적의 주요 전략목표를 즉시 정밀 타격할 수 있다.

스텔스 기술로 한 레이더망에 탐지되지 않는 것은 물론 군용 GPS(인공위성위치정보)를 장착해 전파교란 상황에서도 목표물 반경 1m 이내로 정확히 타격할 수 있다.

최대 속도 시속 1163㎞로, 서울 인근에서 발사하면 15분 안에 북한 전역의 주요시설을 타격할 수 있다.

우리군은 지난 2013년에 170여 발 도입키로 계약을 맺었으며 이미 수십 발이 공군에 실전 배치됐다. 작년 10월 초 국방부는 90발을 추가 도입하기로 했다.

박태훈 기자 buckba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