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재미있고 신기한' 캠브리지大 연구 결과

입력 : 2017-07-20 10:41:33 수정 : 2017-07-20 10:55:09

인쇄 메일 url 공유 - +



재있미고 신하기네….
캠릿브지대학의 연결구과에 따르면 한 단어 안에서 글자가 어떤 순서로
배되열어 있는가 하것는은 중하요지 않고,
첫째번와 마지막 글자가 올바른 위치에 있것는이 중하요다고 한다.
나머지 글들자은 완전히 엉진망창의 순서로 되어 있지을라도 
당신은 아무 문없제이 이것을 읽을 수 있다.
왜하냐면 인간의 두뇌는 모든 글자를 하나하나 읽것는이 아니라 단어 하나를 전체로 인하식기 때이문다….

이제 다 읽으셨습니까?
다시 한 번 윗 글을 한 글자 한 글자 또박또박 읽어보세요.
순간 깜짝 놀랄 일이 생길 것입니다.

"인간의 두뇌는 모든 글자를 하나하나 읽는 것이 아니라 하나를 전체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재미있고 신기한 캠브리지 대학의 연구결과'란 제목의 온라인 게시물이 누리꾼의 웃음을 유발하고 있다.

몇해 전부터 떠돌기 시작한 이 게시물은 처음엔 영어로 만들어졌다가 한글로 번역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게시물은 글자 배열이 아무리 엉망이라도 인간은 글자 하나가 아니라 단어 전체를 먼저 인식한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소셜팀 socia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