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노랫말을 담고 있는 책 ‘청구영언(靑丘永言)’의 시작이다. 조선시대 중인이었던 김천택이 1728년 지은 청구영언은 개인 문집이나 구전으로 전해져 내려오는 가곡(歌曲)의 노랫말 580수를 한데 모아 엮은 책이다.
![]() |
‘청구영언’에 실린 첫 시조 ‘오늘이소서’. 국립한글박물관 제공 |
그동안 청구영언의 원본은 학계에서도 몇몇 연구자를 제외하고 공개된 적이 없었다. 최근 열린 언론간담회에서 김희수 국립한글박물관 학예연구관은 “청구영언 원본은 상설전시실에서 잠시 공개된 적은 있지만, 특별전 형태로 나오는 것은 최초”라며 “국립한글박물관이 입수하기 전까지 인사동 고서점에 있던 청구영언 원본을 실제로 본 학자는 극소수에 불과했다”고 설명했다.
청구영언은 다양한 이본(異本)이 존재하는데, 그동안은 1948년 조선진서간행회가 발행한 활자본이 가장 잘 알려져 있었다. 김천택은 청구영언에 지은이가 명확한 작품 외에도 일상적이고 저속한 내용이 담긴 작품 116수를 ‘만횡청류(蔓橫淸類)’라는 제목 아래 묶어 실었다. 이번 전시는 특히 지금까지 조명 받지 못했던 만횡청류 부분에 주목했다.
![]() |
김천택 편 청구영언의 영향을 받아 편찬된 청구영언들. 국립한글박물관 제공 |
전시에서는 청구영언 이본 10점과 성호 이익의 형인 이서가 만들어 연주했던 거문고인 ‘옥동금’(국가민속문화재 제283호)과 조선 후기 거문고 악보인 ‘어은보’도 살펴볼 수 있다. 아울러 청구영언의 420번째 노랫말인 ‘푸른 산도 절로절로’를 현대 음악으로 재해석한 노래와 가창 이동규가 부른 가곡 ‘벽사창이 어른어른커늘’도 들어볼 수 있다. 김 연구관은 “가집인 청구영언은 지금까지 시조집으로 알려졌으나, 가곡과 시조는 분명히 다르다”며 “가곡은 전문 가객이 악사들의 반주에 맞춰 부르는 노래지만, 시조는 대중들이 반주 없이 편하게 불렀던 노래”라고 설명했다.
권구성 기자 k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