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김현주의 일상 톡톡] 한국인 사망원인 1위는 '스트레스'일까?

입력 : 2016-12-29 05:00:00 수정 : 2016-12-28 10:52:02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한국인 주로 '암'으로 사망…30대 위암, 4050대는 간암 / 청년층, 자살로 인한 사망자가 더 많아
작년에 사망한 한국인 10명 중 3명 가량은 암으로 인해 이승과 작별을 고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암 사망률은 10년사이 12.7%나 높아졌는데요. 이는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암 발병률이 높은 40대 이상 인구가 늘었고,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해 대장암·췌장암의 발병이 늘었기 때문입니다. 또 사망률이 가장 높은 암은 30대에서는 위암이었고, 40~50대에서는 간암, 60대에서는 폐암이었습니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위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줄어든 반면, 대장암·췌장암·폐암의 사망률은 증가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지난해 총 사망자수는 27만명을 넘어서면서 33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었습니다. 극심한 한파로 인해 노인들의 사망이 늘어난 게 그 원인 중 하나라는 분석입니다.

한국인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가장 큰 원인은 '암(癌)'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0∼30대 젊은 층에서는 자살로 인한 사망자가 더 많았다.

29일 통계청의 '2015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인 중 사망자 수는 총 27만5895명으로, 전년보다 3.1% 늘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83년 이래 최대치다.

인구 10만명당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조사망률은 541.5명으로, 2006년(495.6명) 이후 수년째 증가세다. 2005년 전체의 29.6%에 그쳤던 80세 이상 사망자 비중은 작년 40.8%로 뛰었다.

한국인의 사망원인 1위는 암이었다.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후 33년째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총 7만6855명이 각종 암 질환으로 목숨을 잃었다.

인구 10만명당 암 사망률은 150.8명으로 2위인 심장질환(55.6명)의 3배 수준이었다. 암 종류별 사망률은 폐암(34.1명)이 가장 높았고 간암(22.2명), 위암(16.7명)이 뒤를 이었다.

10년 전인 2005년 위암 사망률은 22.5명으로 폐암에 이어 2위였지만 점차 줄어 작년 16.7명을 기록한 반면, 같은 기간 대장암은 12.4명에서 16.4명으로 늘었다. 췌장암도 6.9명에서 10.7명으로 급증했다.

대장암과 췌장암은 서구화된 식습관의 영향을 받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앞으로도 이로 인한 사망 증가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서구화된 식습관 영향, 대장암·췌장암 사망자 늘어날 듯

연령별로 암 사망률을 보면 30대는 위암이 1위였고 40~50대는 간암, 60세 이상은 폐암으로 나타났다. 전체 사망원인 3위는 뇌혈관 질환으로 사망률은 48.0명이었다. 폐렴은 작년 5위에서 한계단 올라섰다.

10년 전인 2005년에는 사망률 8.5명으로 10위에 불과했던 폐렴은 매년 사망률이 높아져 2008년 9위(11.1명)로 올라섰다가 2010년에는 6위(14.9명), 지난해는 4위(28.9명)를 기록했다. 지난해 폐렴으로 숨진 사람은 총 1만4718명이다.

통계청은 "고령인구가 전체적으로 늘면서 사망자수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다"며 "고령화로 폐렴과 심장질환 등 노인성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성별로 보면 남녀 모두 암의 사망순위가 가장 높았다. 남자의 암 사망률은 187.3명으로, 114.4명인 여자의 1.64배였다.

남자가 여자보다 순위가 높은 사망원인은 △자살 △간질환 △만성하기도질환 △운수사고 △추락 등이었다. 이에 반해 여자는 남자보다 △폐렴 △당뇨병 △알츠하이머병 △고혈압성질환 △패혈증 등에서 사망원인 순위가 높았다.

여자는 알츠하이머병(8→7위), 패혈증(12→10위)에서 사망원인 순위가 올랐다. 남자는 작년과 비교해 순위 변화가 없었다.

연령별로 보면 1~9세 및 40세 이상에서 사인 1위가 모두 암이었다. 10~30대는 모두 자살 사망자 비중이 가장 컸다. 10∼20대는 모두 사망원인 2위가 운수사고였고, 암은 3위에 그쳤다.

◆10~20대 청년층 사망 원인 2위 '운수사고', 1위는?

전체 사인 가운데 폐렴은 전년대비 사망률 증가폭이 22.0%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심장질환(6.1%), 만성하기도질환(4.7%) 등이었다.

△결핵(-5.8%) △위암(-4.7%) △운수사고(-3.2%)는 줄었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폐렴(240.4%) △심장 질환(41.6%) △폐암(21.1%)의 사망률이 큰 폭으로 뛰었다. △운수사고(-33.3%) △호흡기결핵(-28.6%) △위암(-25.5%) △뇌혈관질환(-25.1%)은 줄었다.

생후 1년 이내 사망한 영아사망률은 출생아 천명 당 2.7명으로 전년보다 0.3명 감소했다. 2000년 이후 최저치다.

임신 및 분만과 관련환 질환으로 사망하는 모성사망비(출생아 10만명당)는 8.7명으로, 전년대비 2.3명 줄어 역대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지역별 연령구조 차이를 제거한 '연령표준화사망률(표준인구 10만명당 사망자 수)'은 전체 347.6명이다. 지역별로 보면 울산(383.9명), 충북과 경남(381.8명) 순으로 높았고 △서울(306.6명) △경기(328.7명) △제주(331.4명) 순으로 낮았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