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232만 vs 43만' 집회 참가자 수 논란…외국서도 마찬가지

입력 : 2016-12-06 12:58:10 수정 : 2016-12-06 12:58:10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지난 10월29일 이후 매주 토요일마다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촛불집회가 이어지고 있다. 촛불집회가 거듭될수록 끊이지 않는 논란 중 하나가 집회 참가자 수에 대한 부분이다.

지난 3일 주말 6차 춧불집회에서도 주최측과 경찰의 집회 참가자 수는 큰 차이를 보였다. 주최 측은 서울 170만명 등 전국에서 최대 232만명이 참가했다고 추산했다. 반면 경찰은 서울 32만명 등 전국에서 43만명으로 집계했다.

◇경찰 추산 '특정 시점 최대 인원' vs 주최 측 '집회 참가자 전체'

이같은 차이는 주최 측과 경찰의 참가자수 추산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다. 주최 측은 행사 시작부터 끝까지 참여한 모든 인원(연인원)을 추산하는 반면 경찰은 집회 시 특정 시점의 참여인원을 계산한다.

경찰은 특정 범위를 선정해 대략적인 수치를 계산하고 이를 전체로 확대하는 '페르미 추정법'을 토대로 집회 참가 인원을 추산한다. 3.3㎡(1평)에 성인 남성 9~10명이 설 수 있고 6명이 앉을 수 있다고 가정한다. 9724평인 광화문 광장 일대에 집회 참가자들이 빽빽하게 앉았을 경우에는 5만8000명이 모였다고 추산한다.

이철성 경찰청장은 지난 7일 기자간담회에서 "경비에 나설 때 경찰에 필요한 것은 일시점 최대 몇 명이 모였는지다"라며 "경력을 얼마나 어떻게 배치할 지 등 경찰 내부 작전을 짜기 위한 용도"라고 설명했다.

이 청장은 "경찰 추산 인원에 3을 곱하면 전체 참가자수(연인원)와 비슷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박근혜 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퇴진행동) 관계자는 "실시간으로 나오는 서울시의 빅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통계 등을 토대로 집회 참가자를 추산한다"며 "연면적당 몇명, 광화문 광장부터 특정 지역까지는 몇명이 들어선다 등 면적당 대비인원도 기반된다"고 밝혔다.

그는 "장시간 진행되는 집회에서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하는 경찰 추산은 아무 의미가 없다"며 "집회 규모를 축소하려는 개입 행위"라고 주장했다.

◇외국서도 논란 불거져…일부 국가는 경찰 추산 비공개

외국의 경우에도 우리나라처럼 집회 참가자수를 놓고 주최 측과 경찰 간 차이가 발생한다. 다수 국가의 경찰이 '페르미 방식' 또는 '제이콥스 방식'으로 참가인원을 추산한다.

페르미 방식은 일본과 이탈리아, 브라질, 독일, 러시아 등에서 사용된다. 제이콥스 방식은 집회 전체 면적을 참자가 1명이 차지하는 면적으로 나눠 추산하는 방식이다. 미국과 대만, 필리핀 등에서 사용한다.

일본, 이탈리아, 홍콩 등 일부 국가는 경찰 추산인원을 언론에 발표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일본의 경우 지난해 8월 안보법 반대시위 시 참가인원을 경찰은 3만3000명, 주최 측은 12만명으로 추산했다. 일본 경찰은 동원부대 규모 조정을 위함이지 언론발표용이 아니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추산 인원을 발표하지 않는 것을 기본 입장으로 한다.

미국 LA경찰의 경우 항공대가 촬영한 항공사진을 토대로 제이콥스 방식에 따라 참가인원을 추산한다.

최근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된 트럼프 반대 집회에서 LA경찰은 8000명을 추산했고 일부 언론은 2만명이 모인 것으로 주장했다. LA경찰은 이러한 논란을 피하기 위해 추산치를 제공하지 않거나 '1만5000명~2만5000명' 등의 식으로 범위를 설정해 제공한다.

◇새로운 추산법도 등장…전문가 "추산범위로 잡아야"

국내에서는 촛불집회 참가자수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자 새로운 방식의 추산법도 등장했다. 집회 장소 인근의 지하철 이용자수, 휴대전화 무선신호 등 빅데이터에 근거한 추산이나 집회 장소의 열감지법을 토대로 한 추산 등이다.

소비자 데이터 분석 업체 '조이코퍼레이션'은 광화문과 서울광장 주변에 이동식 감지기 53개를 설치, 휴대전화 무선신호를 분석했다. 업체 관계자는 "지난 3년 간 자체 데이터를 분석해보니 실제 방문 인원 중 절반 정도가 휴대전화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나 기기 1개가 탐색되면 2명으로 잡아서 추정했다"고 설명했다.

이 결과 지난달 19일 오후 2시부터 9시까지 74만명이 다녀간 것으로 집계됐다. 인원이 가장 많았던 당일 오후 7~8시에는 22만명이 집회 현장 주변에 있던 것으로 파악됐다. 오차 범위는 67만~81만명이다.

이날 주최 측은 서울 집회 참가자수가 60만명 이상이라고 추산했고 경찰은 당일 오후 8시 최대 18만명이 모였다고 추산했다.

업체 관계자는 "순간 최대치를 측정하는 경찰 추산 인원과 연인원을 모두 고려하는 주최 측 추산 모두 상당히 정확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건국대 경찰학과 이웅혁 교수는 "주최 측과 경찰이 인원 추산하는 방법과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논란은 지속될 수 밖에 없을 것 같다"면서도 "양 측의 추산치와 최근 등장한 지하철 이용자수, 휴대전화 무선신호 등 빅데이터를 근거로 한 집회 참가인원 추산치를 토대로 추산범위를 잡으면 비교적 객관적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임준태 교수는 "양쪽의 추산이 다 문제점이 있다"며 "경찰은 참가 예상인원을 정하면 실제 집회에서 가감변동이 있더라도 예상수치에 맞춰 경력을 운영한다. 주최 측은 집회 장소 인근에 온 모든 사람을 포함하는데 집회가 아니더라도 일상을 위해 광화문 광장, 종로를 방문하는 사람이 그대로 포함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시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