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WT논평] The homegrown terrorist is the biggest threat

관련이슈 WT사설-논단

입력 : 2016-09-22 00:21:14 수정 : 2016-09-22 00:21:14

인쇄 메일 url 공유 - +

By Karen Meeker(Fellow at the Institute of World Politics) Terrorism expert Peter Bergen said recently on Capitol Hill, “The homegrown terrorist is the biggest threat to the United States.” According to New America’s “ISIS in the West: The New Faces of Extremism,” the most common demographic of Americans recruited by ISIS, or the Islamic State, is a 25-year-old who is socially connected on the internet. What, then, is the special appeal that would drive an American young adult to radicalism and then terrorism, and what can we do about it? The answer has to do with the philosophical and religious dimension of the war against Islamist terrorism, which our government refuses to address.

The world is in the midst of a war of beliefs. The battle is for the soul. It is not about economic opportunity. It’s about knowing the why of life. It is a longing for meaning. Helpless before Nazi torture, Viktor Frankl realized, “He who has a why to live for can bear any how.” Human will is incredibly powerful when it connects to something greater. When it doesn’t connect or disconnects, there is despair. When it connects to evil, there is cruelty.

ISIS taps into an innate desire for meaning, purpose and community. This is what makes it dangerous. ISIS offers jihad to destroy the depravity of the West. Taqwah, the ascetic life, is a balm to cure Western indulgence; sacrifice, the cure to Western gratification; and piety, an alternative to Western immorality. ISIS seduces recruits with a sense of belonging to a larger community, the Ummah, and guarantees eternal paradise. Once committed, followers have no regard for the inhumane acts of violence they perpetrate on this earth.

The U.S. response fails to address the existential nature of this war. To defeat ISIS requires a national will to do so.

이슬람 테러와의 전쟁은 이념전쟁이다

캐런 미커(미국 세계정치연구소 연구원)


테러 전문가 피터 버건은 “국내에서 자생한 테러분자가 미국의 최대 위협”이라고 최근 미국 의회에서 말했다. 뉴아메리카의 “서방의 이슬람국가: 극단주의의 새로운 얼굴”에 따르면 이슬람국가에 가장 흔히 모집되는 미국의 인구집단은 인터넷에 사회적으로 연결된 25세이다. 그렇다면 미국의 젊은 성인을 과격주의로 내몰고 이어 테러행위를 하도록 호소하는 특정한 요인은 무엇이며 우리는 그에 대해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는가. 그 해답은 이슬람 테러와의 전쟁이 지니는 철학적 및 종교적 차원과 연관되어 있으며 우리 정부는 이런 차원의 대처를 거부한다.

세계는 각종 신념 전쟁의 와중에 있다. 영혼을 놓고 전투가 벌어진다. 그것은 경제적 기회에 관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삶의 이유에 대한 인식에 관한 것이다. 그것은 의미에 대한 갈망이다. 나치의 고문 앞에 무력해졌을 때 빅토르 프랑클은 “살아야 할 이유를 가진 사람은 어떻게 해서든 견딜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인간의 의지는 무언가 더 위대한 것과 관계를 맺을 때 믿을 수 없을 만치 강력해진다. 관계를 맺지 못하거나 혹은 관계가 끊어질 때 절망이 생긴다. 인간의 의지가 악과 관계를 맺을 때 잔학행위가 저질러진다.

이슬람국가는 의미와 목적 및 사회공동체에 대한 인간 내면의 갈망을 이용한다. 이슬람국가가 위험한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 이슬람국가는 서방의 타락을 파괴하도록 이슬람성전을 제공한다. 금욕생활인 타크와는 서방의 방종을 치유하는 향유다. 희생은 서방의 만족에 대한 치유약이다. 경건함은 서방의 부도덕의 대안이다. 이슬람국가는 보다 큰 사회공동체인 움마에 대한 소속감으로 신입자들을 유혹하며 영원한 낙원을 약속한다. 일단 심취한 추종자들은 자신이 이 땅에서 저지르는 비인간적인 폭력행위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미국의 대응은 이 전쟁의 존재적 차원의 성격에 대처하는 데 실패한다. 이슬람국가를 패배시키려면 이에 거국적으로 대처하는 의지가 필요하다.

역주=오성환 외신전문위원 suhwo@segye.com

△demographic:인구학의 △special:특정한 △anyhow:어떻게 해서든

△cruelty:잔학행위, 학대 △tap into:이용하다 △perpetrate:저지르다

△have regard for-:-에 관심을 가지다 △speak to:이야기하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