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5일(한국시간)부터 시작되는 2016 리우올림픽 축구에서는 연장전 승부에 한해 4장의 교체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토너먼트 승부에서 정규시간 90분 동안은 기존과 마찬가지로 3명의 선수만 교체할 수 있다. 그러나 연장전에 돌입하면 한 장의 교체카드를 더 활용할 수 있다.
8강부터 적용되는 규정이다. 16개국이 출전하는 올림픽 축구는 4개조로 나뉘어 조별리그를 치른 뒤 8강 토너먼트에 돌입한다.
올림픽 축구를 주관하는 국제축구연맹(FIFA)은 이미 지난 3월 이같이 결정했다.
FIFA 주관 대회에서 '3+1' 교체카드가 도입되는 것은 이번 대회가 처음이다.
FIFA는 이번 대회에 시범도입해 성과를 지켜본 뒤 제도의 확대 적용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국내 무대에서 뛰는 선수들에게는 낯선 규정이 아니다.
올 시즌 대한축구협회(FA)컵에서는 연장 승부에 한해 4번째 교체카드를 활용할 수 있다.
또 이번 대회에서는 시뮬레이션 반칙에 벌금을 부과한다.
반칙 판정을 받기 위해 심판을 속이는 행위를 하면 1000 스위스프랑(약 120만원)의 벌금을 내야한다.
퇴장을 당한 경우에도 같은 금액의 벌금이 부과되고, 다음 경기 출전이 불가능하다. 한 경기에 경고 2장을 받은 경우도 해당된다. 단, 4강전부터는 앞서 받은 카드 전력이 소멸된다.
대회 공인구는 아디다스의 '에레조타'다.
올 시즌부터 프로축구 K리그에서 사용되는 공이다. 한국 대표팀은 지난 5월30일 소집훈련 때부터 에레조타를 사용했다.
한국은 5일 오전 8시 피지와 대회 조별리그 C조 1차전 경기를 치른다.
<뉴시스>뉴시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