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영국의 이라크전 참전은 오판의 연속”

입력 : 2016-07-06 23:12:41 수정 : 2016-07-06 23:12:41

인쇄 메일 url 공유 - +

“블레어, 후세인·WMD 위협 과장
평화적인 해법 있었는데도 무시
부시에 ‘나는 당신 편’ 메모도”
영국의 이라크 전쟁 참전이 평화적인 해결책에 대한 고려 없이 부적절한 판단을 거쳐 진행됐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영국 BBC방송 등에 따르면 이라크전 조사위원회를 이끈 존 칠콧 위원장은 “이라크 파병을 결정한 토니 블레어 전 총리는 사담 후세인의 위협을 과장했고, (이라크에) 대량살상무기(WMD)가 있을 것이라는 그릇된 정보를 받아들이는 오류를 저질렀다”고 말했다. 내무장관 보좌관 등을 역임한 원로 공무원 칠콧 위원장은 지난 2009년 6월 이라크 조사위원회를 이끌어 7년 동안 15만여건의 정부 문서, 150명의 증인 조사 등을 거쳐 총 12권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의 이라크전 참전은 파병이 결정된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잘못된 판단의 연속이었다. 칠콧 위원장은 “이라크 사담 후세인 정권을 무장 해제할 수 있는 평화적인 방법이 존재했지만 이를 무시하고 참전했다”며 “외부의 경고 목소리에도 작전이 진행됐지만 영국은 결국 목표를 이뤄내지 못하고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사담 후세인이 가지고 있었다고 알려져 참전 명분이 됐던 이라크의 대량살상무기 보유 여부와 관련해 영국 정보기관은 완벽하지 않은 정보를 생산해 낸 것으로 드러났다. 후세인 정권이 전쟁 당시 즉각적인 위협 대상이 아니었지만 이라크의 군사 능력을 과장해 미국과 함께 영국이 전쟁에 참가했고 결과적으로 인명 피해를 키웠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블레어 전 총리가 2002년 6월 조지 W 부시 당시 미국 대통령에게 “무슨 일이 있더라도 나는 당신 편”이라는 메모도 공개했다. 블레어 전 총리는 아울러 이라크가 핵무기를 만들려면 최소 4~5년이 걸릴 것이란 정보기관 평가를 믿지 않고 1~2년 안에 핵무장 할 수 있다며 상황을 오판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칠콧 위원장은 “이라크 참전 여파로 테러리스트가 나타나고 테러단체 알-카에다 등이 영국을 공격할 가능성이 있다는 정보기관의 경고가 있었지만 블레어는 이를 무시했다”고 말했다. 다만 보고서는 이라크전 참전이 ‘불법’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판단하지 않았다. 영국의 이라크전 개입 기간 동안 병사 179명이 전사했고, 이 기간 이라크인 사망자수는 10만여명에 달했다.

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