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보훈처 결정에 청와대의 지침이 있었는지 여부에 대해 "직접 지시나 지침이라는 건 없었다"고 부인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을 기념곡으로 지정해 달라는 요구는 "애국가도 국가로 지정돼 있지 않은 상태이다"며 반대했다.
16일 국가보훈처는"'임을 위한 행진곡’ 기념곡 지정 및 제창과 관련해 찬성과 반대 논란이 2016년 현재까지도 해소되지 않고 있어 정부 입장을 전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공식 식순에 포함해 기념공연으로 합창하는 기존의 형식을 그대로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보훈처는 "정부에서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본 행사인 기념공연에서 합창단이 합창하고 부르고 싶은 사람은 따라 부르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부르지 않을 수 있도록 '참석자 자율의사'를 존중하는 것이 논란을 최소화하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5·18 정신으로 국민화합 꽃피우자'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기념식은 유족과 사회 각 분야 대표 시민, 학생 등 3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Δ개식 Δ국기에 대한 경례 Δ애국가 제창 Δ순국선열 및 호국영령과 5·18 민주화운동 희생영령에 대한 묵념 Δ헌화 및 분향 Δ경과보고 Δ기념사 Δ기념공연 합창: 임을 위한 행진곡 Δ폐식 등으로 진행된다.
최정식 보훈처 홍보팀장은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정부 기념 행사는 과거 1997년 이전의 광주만의 5·18 민주화운동이 아니다"라며 "보훈처는 지난 3일간의 논의를 통해서 논란을 해소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최 팀장은 "자칫 임을 위한 행진곡에 대한 본질보다는 다른 논란이 더더욱 더 커지는 부분이 있지만 보훈처는 앞으로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 5·18 정신을 기리고, 국민 통합에 기여하는 기념식을 만들도록 보다 더 노력을 하겠다"고 했다.
최 팀장은 "대통령의 발언(13일 여야 3당 원내지도부와의 회동때)은 국론분열을 막을 수 있는 좋은 방안을 논의해 보라고 하신 것이 현재까지 다이고, 거기에 따라 지난 3일 동안 수많은 논의를 거쳐서 현행 방식대로 진행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했다"며 "별도의 지침은 없었다"고 했다.
최 팀장은 "보훈처가 찬성과 반대 어느 한쪽의 입장을 반영하는 것은 절대로 아니다"며 "정부기념행사라는 것을 국민 통합을 위해 각계각층이 참석해 원만하게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추진하는 것이 바로 국가보훈처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기념곡 지정 문제에 대해 최 팀장은 "기념곡 지정에 관한 법령이 아무 것도 없는 현 상황에서는 자칫 '임을 위한 행진곡'이 대한민국 기념곡 1호가 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생기기 때문에 또 다른 논란이 발생한다"고 힘든 이유를 알렸다.
올해 '제36주년 5·18 민주화 운동 기념식'은 18일 오전 10시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다.
박태훈 기자 buckba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