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가톨릭대 예방의학교실 박순우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본부의 정책연구용업사업 '청소년 흡연조사 타당도 평가' 최종 결과 보고서에서 "청소년이 흡연 여부를 직접 써넣는 방식으로 조사한 흡연율은 실제 흡연율보다 낮게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이 보고서를 보면 학교 선생님이 지도하는 가운데 온라인 설문에 청소년이 직접 응답하는 방식으로 조사한 청소년 흡연율은 8.0%(남학생 16.5%, 여학생 1.8%)였다.
그러나 소변 검사 등을 통해 밝혀진 '진짜' 흡연율은 11.3%(남학생 21.9%, 여학생 3.7%)로 첫 번째 설문 응답보다 높았다.
흡연 청소년 상당수가 비흡연자로 거짓 응답했다고 추론할 수 있다.
첫 번째 조사 방식은 국가에서 진행하는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와 같다.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흡연율이 실제보다 낮게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결론이다.
연구팀은 보고서에서 "응답 결과의 비밀이 보장되지 않는 조사 환경이 흡연율 조사의 타당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응답에 대한 비밀을 보장해야 청소년 흡연율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지난해 대구·경북 지역 고등학생 1천58명(남학생 443명·여학생 615명)을 분석해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구팀은 "일부 지역의 일부 학교를 대상으로 해 대표성이 없다"며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는 청소년 보건정책의 기초자료가 되는 만큼 대표성 있는 표본으로 타당도 조사를 다시 실시, 정확한 결과를 산출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연합>연합>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