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국내외 주요 경제기관이 내놓은 내년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2∼3.3% 수준이다. 기관별로는 우리 정부가 3.3%로 가장 높고, 모건스탠리가 2.2%로 가장 낮다. 올해 초 기관들이 전망치를 발표할 때만 해도 3%를 웃돌았지만 연말이 다가오면서 대부분 하향조정된 상태다.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대로 높아질 것이라는 예측이 우세하지만, 저유가가 지속될 때 0%대 상승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게다가 중국의 경기 둔화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에까지 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 9월30일∼10월8일 국내외 금융경제전문가 8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국내 금융시스템의 위험요인으로 ‘중국 경기 둔화’(90%·복수응답 기준)를 첫손에 꼽았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아베 본색’ 다카이치](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577.jpg
)
![[세계포럼] ‘종묘 뷰’ 세운상가 재개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575.jpg
)
![[세계타워] ‘야수의 심장’ 속마음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527.jpg
)
![[기고] ‘외로운 늑대’ 설칠까 불안한 대한민국](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163.jpg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300/2025111150797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