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심야에 발생한 중국 톈진(天津)시 빈하이(濱海)신구 탕구(塘沽)항 물류창고 대형 폭발사고로 시안화나트륨(청산가리) 등 극독성 물질이 다량 유출됐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폭발로 인한 사망자수가 최소 50명에 이르는 가운데 그 중 소방관이 17명이나 포함된 것으로 집계돼 역대 최악의 소방관 참사 중 하나로 기록될 가능성이 커졌다.
중국 언론들은 14일 폭발 현장 주변 하수도에서 시안화나트륨이 검출됐다며 이는 이미 이 극독 물질이 유출됐음을 시사한다고 보도했다.
폭발사고가 난 물류창고에는 최소한 700여t의 시안화나트륨이 보관돼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중국언론은 다만 전날 보도에서 "시안화나트륨이 공기 중에서 검출되지 않았다"고 전한 바 있다.
중국당국은 "214명으로 구성된 베이징군구 산하 '국가급 생화학부대'가 구조 현장에 투입됐다"고 발표했지만, 생화학부대를 투입한 구체적인 배경은 설명하지 않았다.
당국의 허가를 받아 폭발현장에 접근한 관영 중국중앙(CC)TV는 완전히 폐허가 된 폭발사고 핵심부의 모습을 촬영해 공개하기도 했다.
CCTV 기자는 "3분 정도 서 있었는데 피부가 가렵고 아팠다"며 현장이 화학물질 등으로 오염된 상태임을 시사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인터넷에서는 유출된 화학물질이 공기를 타고 톈진, 베이징(北京) 등을 오염시켰다는 소문까지 돌아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관영 영자지 차이나데일리는 중국당국을 인용, "그것은 루머"라고 일축하고 이번 폭발로 톈진 지역 공기질이 일시적으로 악화하긴 했지만, 지금은 '안전한 수준'을 되찾았다고 보도했다.
톈진 환경보호국 당국자는 "(폭발과정에서 유출된) 톨루엔, 클로로포름, 에틸렌옥사이드 등의 화학물질로 (공기 중에서) 자극적인 냄새가 났다"며 "그러나 이미 (화학물질들은) 분산됐거나 (오염물질 농도가) 안전한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베이징 환경당국도 이번 폭발이 베이징 공기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유은정 기자 viayou@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