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다른 지역 환자는 못받아"… 도 넘은 '의료 님비'

입력 : 2015-06-04 18:58:52 수정 : 2015-06-04 21:57:29

인쇄 메일 url 공유 - +

복지부 격리병실 활용 협조 공문…강원·인천 등 시민들 핑계로 거부…충주선 자활연수원 시설 지정에…주민들 24시간 감시 환자 막아
클릭하면 큰 그림으로 볼 수 있습니다.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환자의 입원 문제를 두고 ‘의료 님비’(Not In My BackYard: 내 뒷마당에는 안 된다)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보건복지부 공중보건위기대응과는 지난 1일 각 지방자치단체에 ‘메르스 환자 등 격리병상 활용 관련 지시’에 대한 협조 공문을 보내 환자의 주거지와 상관없이 병상 활용 요청이 오면 적극 협조해 줄 것을 당부했다. 그러나 일부 시도는 다른 지역에서 발생한 환자는 받을 수 없다고 반발하고 나섰다.

4일 청와대 본관 출입구에 출입자 대상으로 메르스 관련 체온측정및 손소독 안내문이 설치돠어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강원도는 지역에 소재를 둔 환자가 아니면 격리병상을 내줄 수 없다는 의견을 3일 밝혔다. 강원도는 “혹시 모를 메르스 환자 확산에 대비해 병상을 확보해야 한다”는 이유를 댔다. 하지만 환자 이송 및 격리 과정에서 강원도에 메르스가 전파될 것을 우려한 지역 이기주의 행태라는 지적이다. 강원도는 2차례 의심환자가 발생했지만 모두 음성으로 판정났다. 강원도에는 원주와 강릉에 28개 격리병상이 마련돼 있다. 도 보건정책 관계자는 “복지부 협조를 거절한 것이 아니라 국가지정 격리병상은 한 군데밖에 없으며 2명뿐인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실정에서 다른 지역 환자까지 오면 진료 역량을 초과한다”면서 “원주의료원 등 일부 병상은 국가지정 격리병상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인천시도 메르스 환자의 추가 수용을 거부했다. 지난 2일 질병관리본부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50대 여성을 시와 사전 협의 없이 인천의 한 음압 격리시설로 보내자 인천시는 거세게 항의했다. 지역 보건관계자는 “인천에서는 아직 메르스 환자가 발생하지 않았는데 타지역 확진 환자가 와 시민들이 불안해한다”며 “앞으로는 사전 통보 없이 환자를 이송하면 각 병원에 연락해 거부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 수가 35명까지 늘어난 4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어린이병원이 한산하다. 시민의 메르스 불안감이 확산되면서 병원을 찾는 외래 환자가 줄고 있다.
현재 자가·시설 격리대상자 1667명 가운데 100여명은 50대 이상으로 기저질환을 앓고 있어 시설격리 대상으로 분류돼 있다. 이들은 전국 2곳의 지정 격리시설로 이송돼야 한다. 그런데 충북 충주 한국자활연수원이 지정 격리시설로 지정되자 지역 공무원과 주민들은 24시간 감시를 서며 환자들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고 있다. 충주시 관계자는 “메르스 발생지역도 아닌 데다 연수원 근처에 학교와 마을이 있어 격리시설로 적합하지 않다”고 말했다.

조병욱 기자 brightw@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