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제16대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1809∼1865)이 암살범의 흉탄에 쓰러져 비극적으로 생을 마감한 지 14일(현지시간)로 150주기를 맞았다.
남북전쟁을 거쳐 흑인 노예를 해방한 링컨 대통령은 1865년 4월 14일 저녁 워싱턴DC의 포드 극장에서 ’우리의 미국인 사촌’이라는 연극을 관람하던 중 남북전쟁에서 패한 남부연합군의 밀정 노릇을 하던 남부 지역 출신 배우 존 윌크스 부스의 총에 맞았다.
부스는 저격 당시 “독재자에게는 늘 이렇게…”라고 외치며 링컨 전 대통령에게 총구를 겨눴다.
머리에 총을 맞은 링컨 대통령은 포드 극장 맞은편 피터슨 하우스로 옮겨졌으나 다음날인 15일 새벽 끝내 눈을 감았다.
링컨 대통령의 장례식은 2주간 7개 주, 180개 도시를 돌며 당시 미국 인구의 3분의 1인 1200만 명의 조문객이 참여하는 미국의 첫 국장으로 진행됐다.
남북전쟁 직후 국가 재건에 앞장서야 할 대통령이 사망하자 미국 사회는 당시 큰 충격에 빠졌다.
추격을 피해 암살 공모자와 함께 2주 가까이 도피 행각을 벌이던 부스는 그해 4월 26일 버지니아 주의 한 농가에서 자신을 포위한 기병대에 투항을 거부하다가 결국 총을 맞고 숨졌다.
역사는 현직 미국 대통령을 대상으로 처음 자행된 링컨 대통령의 암살 사건을 19세기 비극으로 기록했다.
링컨 대통령의 역사적인 노예해방 선언 덕분에 흑인으로는 미국 역사상 최초로 통수권자에 오른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15일을 링컨 전 대통령 추모일로 공식 선포한다.
링컨 대통령이 사망한 시각인 15일 오전 7시22분에는 워싱턴DC 등지에서 추모의 종이 동시에 울릴 예정이다.
노예해방과 미국연방 유지를 위해 남북전쟁을 이끈 링컨 대통령은 1863년 게티즈버그에서 272개의 단어로 이뤄진 명연설을 통해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를 만들겠다며 민주주의 이념을 설파했다.
추영준 기자 yjcho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