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세계일보가 서울시내 경찰서 31곳의 사전정보공개 실태를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한 결과 4분의 3에 달하는 21곳이 사전정보공개 갱신 주기와 게시일을 지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른 2곳은 공개하기로 한 내용 중 절반만 공개했다. 대부분의 항목을 제때 갱신해 공개하고 있는 경찰서는 8곳에 불과했다.

B경찰서는 수사 분야에서 ‘경제범죄 사범 발생 검거 현황’, ‘기소중지자 발생검거’ 등 6가지 정보를 연 1회 주기로 매해 6월에 공개하기로 해 놓고, 지난해 한번도 갱신하지 않았다. 이 경찰서의 관계자는 “경찰서 안에 10개과가 있는데 한 과에서 취합해서 올리다 보니 잘 안 되고 있는 것 같다”며 “정비가 좀 필요하다”고 잘못을 시인했다.
서울지방경찰청은 일선서의 정보공개담당자 교육을 하고 있지만 일제점검을 하지는 않고 있다. 서울청의 한 관계자는 “3월과 8월에 교육을 하고 가끔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점검을 하는데 31개 경찰서를 모두 점검하지는 못했다”고 말했다. 실제 점검에 큰 시간이 필요하지 않은 만큼 관리감독을 소홀히 했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서울청은 정부가 운영하는 ‘정보공개시스템’(wonmun.open.go.kr)과의 연동(링크) 과정에서도 문제점을 드러냈다. 시스템 메뉴 중 ‘사전정보공표’에 들어가면 일선서가 사전 공개하는 정보 목록을 검색할 수 있고, 링크를 통해 일선서 홈페이지에 들어가 정보를 볼 수 있게 돼 있는데 일부 링크에서 연결 오류가 발생했다. 서울청은 이 같은 사실을 알지 못하고 있다가 세계일보 취재팀이 사실 확인을 요청한 다음에야 잘못된 사실을 인지하고 수정에 나섰다.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강성국 간사는 “정보 3.0 선포 이후 사전정보를 공개한다고 해 놓고 안 하는 전시 행정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정보공개가 오히려 후퇴했다”며 “경찰 같은 특수 권력기관은 비공개 정보를 제외하고는 적극적으로 공개에 나서 국민과 거리를 좁혀야 한다”고 말했다.
오현태 기자 sht98@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