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임기 내 혁신교육지구 12곳 지정”

입력 : 2014-10-09 00:23:16 수정 : 2014-10-09 00:23:16

인쇄 메일 url 공유 - +

조희연 서울교육감 취임 100일 학생수 감축, 창의체험학습 등을 위한 예산을 지원받는 ‘혁신교육지구’가 2018년까지 서울 자치구 절반 수준인 12곳으로 대폭 늘어날 전망이다. 혁신교육지구 지정이 강남·북 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도입된 정책인 만큼, 강북 대다수 지역이 혜택을 볼 것으로 보인다.

조희연(사진) 서울교육감은 8일 취임 100일을 맞아 서울시교육청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혁신교육지구를 임기 내에 12곳에 지정하고, 내년도에 우선 8개 지구를 지정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당초 조 교육감이 5개 지구를 지정하겠다고 공약한 것보다 늘어난 것이다. 현재 혁신교육지구는 서울 금천구와 구로구에 지정돼 있다. 혁신지구로 지정되면 10억∼20억원의 교육지원금을 지자체 사정에 맡게 운용해 교육환경 개선에 쓸 수 있다. 서울교육청 관계자는 “혁신지구는 일률적 기준을 적용하지 않고 자치구 사정에 맡게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장점이 있지만, 학생수 감축과 창의체험 학습 지원 등 개선해야 할 환경 여건에 대한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은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교육청은 내년도 8개 지구로 확대 시 60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조 교육감은 이날 회견에서 일부 자율형사립고(자사고)의 일반고 전환을 둘러싼 논란에도 입을 열었다. 조 교육감은 “교육 불평등에 도전하는 교육감이 되겠다”며 “논란도 있지만 자사고의 경우도 자사고 자체가 문제 아니라 교육 불평등에 도전하는 저의 의지와 일반고 정책, 고교 평등예산 제도 그 맥락에 있다”고 강조해 자사고 지정 취소 의지를 드러냈다.

서울시교육청은 또 2016년도 도입을 목표로 고교배정 시 기존 통학거리 외에도 성적을 반영하는 방안을 논의해 3월 기본방안을 발표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9시등교 역시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며, 가령 초등학교부터 단계적 도입 등 문제점을 보완할 방식을 찾고 있다고 했다.

조 교육감은 이날 회견장에 자전거를 끌고 입장하는 이벤트를 했다. 대안교육기관인 하자센터에서 폐자전거를 학생들이 재조립한 자전거였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
  • 송지효 '바다의 여신'
  • 김다미 '완벽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