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은 6년간 12%↑… 연 0.5% 증가 그쳐 스마트폰 경쟁이 가열되면서 탑재되는 배터리 용량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풀HD보다 4배 선명한 울트라HD 화질이 적용되는 등 배터리의 중요성이 강화되면서 제조업체들이 배터리 성능을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스마트폰 판매량 세계 1위인 삼성전자의 주력 제품인 갤럭시S 시리즈의 배터리 용량은 4년 동안 87% 증가했다.
2010년 6월 출시된 갤럭시S는 1500mAh였으나 갤럭시S2(2011년) 1650mAh, 갤럭시S3(2012년) 2100mAh, 갤럭시S4(2013년) 2600mAh를 거쳐 올해 4월 출시된 갤럭시S5는 2800mAh로 늘어났다. 연평균 증가율은 16.9%다.
스마트폰 시장 진출에 한 발 늦었던 LG전자는 차별화 전략의 하나로 스마트폰 배터리 성능 개선에 특히 힘을 쏟고 있다. 2012년 8월 출시한 옵티머스G는 2100mAh, G2(2013년) 2160mAh였으며 올해 5월 출시한 G3는 동급 최대인 3000mAh 배터리를 탑재했다. 2년 새 용량이 43% 증가했다. 대형 모델인 G프로(2013년)는 3140mAh, 올 2월 출시한 G프로2는 3200mAh다.
반면 애플은 스마트폰 배터리 용량 확대에 소극적인 편이다. 2007년 선보인 아이폰2G는 1400mAh였으나 후속작인 아이폰3G(2008년)와 아이폰3GS(2009년)는 1150mAh와 1219mAh로 용량을 줄였다. 그러다 아이폰4(2010년) 1420mAh, 아이폰4S(2011년) 1430mAh, 아이폰5(2012년) 1440mAh, 아이폰5S(2013년) 1570mAh로 점차 늘였다. 6년 동안 12% 증가하는 데 그쳤는데 연평균 0.5%씩 늘어난 셈이다.
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