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베트남, 反中시위 격화… 中선 전쟁불사론

입력 : 2014-05-16 19:40:00 수정 : 2014-05-17 00:46:28

인쇄 메일 url 공유 - +

대만기업 중국인 1명 또 사망
남중국해 국지전 발발 우려
중국과 베트남 간 영유권 분쟁이 유혈사태로 비화하면서 양국 관계가 최악의 위기로 치닫고 있다. 미국이 남중국해 영토분쟁 개입에 나설 태세고 필리핀 등 주변국에서는 반중 기류가 급속히 번지고 있다. 중국 역시 한 치도 물러서지 않아 국지전 발발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16일 대만 연합보 등에 따르면 지난 13일 베트남 남부 빈즈엉성에 있는 대만 기업 공장 숙소에서 중국인 기계수리공 한 명이 숨져 베트남 반중 시위 사망자가 2명으로 늘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중국 기업 직원인 중국인 2명이 폭력 시위 과정에서 불행히도 숨졌고 100명 이상이 부상했다”고 확인했다.

한국 기업도 철수에 돌입했다. 삼성물산은 하띤성 현지 공사 인력 98명을 남부 동호이 지역 안전시설로 긴급 대피시켰다고 밝혔다. 포스코건설도 대만 포모사 플라스틱 그룹의 공사 현장 근로자 약 50명을 철수했다.

반중 시위의 불길은 중국과 영유권 분쟁을 겪어온 필리핀 등 주변국으로 확산하고 있다. 마닐라 거주 필리핀 시민과 베트남인 100여명은 이날 마닐라 중국영사관 앞에서 “중국 물러가라” 등의 구호가 적힌 푯말을 들고 연합시위를 벌였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중국은 베트남과 파라셀제도(호앙사·중국명 시사군도), 필리핀·베트남과는 스프래틀리제도(베트남명 쯔엉사·중국명 난사군도), 필리핀과는 스카보러섬(중국명 황옌다오) 등을 놓고 영유권 분쟁 중이다.

중국도 단단히 화가 났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전날 팜빈민 베트남 부총리 겸 외무장관과 긴급통화에서 “베트남은 중국 기업과 중국인에 대한 불법분자들의 습격 사태 책임을 회피할 수 없다”며 베트남 정부에 책임을 물었다. 중국 상무부도 이날 정례기자회견에서 “중국기업과 중국인들이 베트남에서 불법분자들로부터 폭행과 약탈을 당했다”고 강력 비난했다. 가오후청(高虎城) 상무부장은 17일부터 칭다오(靑島)에서 열리는 에이펙(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경제무역장관회의에서 베트남 무역공업부 장관을 불러 이번 사태에 대해 엄숙한 의견을 전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응웬 떤 중 베트남 총리는 이날 관계부처에 과격 선동세력을 색출해 엄격히 처벌하라고 지시하면서도 “중국이 국제법에 따라 베트남 해역에서 시추장비와 주변 선박들을 철수시켜야 한다”고 물러설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중국 여론은 ‘전쟁불사론’까지 거론되며 날로 격앙되고 있다.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사설에서 “남중국해 갈등이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돼야 하지만 이는 중국이 ‘비평화적 수단’에 의존하지 않겠다는 뜻은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방미한 팡펑후이(房峰輝) 중국군 총참모장은 15일(현지시간) 마틴 뎀프시 미 합참의장과 회담한 뒤 공동 기자회견에서 “원유 시추작업은 계속 진행될 것”이라며 “중국은 단 한 치의 영토도 양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오히려 “일부 이웃 국가들이 미국의 아시아 중심축 정책을 계기로 문제를 일으키는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며 미국에 직격탄을 날렸다. 화 대변인은 조 바이든 미국 부통령실에서 ‘중국의 일방적인 행동과 베트남에서 발생한 폭력사태에 모두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고 한 데 대해 “미국은 사태를 정확히 알고 시시비비를 명확히 가려 책임 있는 말과 행동을 하기를 희망한다”고 비판했다. 이번 사태가 미국·반중 연합군 대 중국 간의 패권 싸움 양상으로 증폭되고 있는 셈이다.

워싱턴·베이징=박희준·신동주 특파원 july1s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