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회복세가 기대에 못 미치는 상황에서 세월호 사고 이후 단체여행과 지역축제, 각종 모임, 공연 등이 줄줄이 취소·축소·연기돼 이대로 두면 경제 전반의 활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전반적인 소비 흐름을 엿볼 수 있는 신용카드 사용 규모가 지난달 16일 세월호 사고 이후 축소됐다. 사고 직전인 지난달 14∼15일 카드 승인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0% 증가했으나 사고 직후인 16∼20일에는 증가 폭이 6.9%로 줄었다. 골프장, 골프연습장, 노래방 등 레저업종의 지난달 1∼15일 신용카드 승인액은 전년 동기 대비 12.9% 증가했으나 16∼30일은 3.6% 감소했다.
백화점과 할인점의 매출도 뚝 떨어졌다. 지난달 첫째 주 백화점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5% 늘었으나 넷째 주에는 증가 폭이 0.2%로 줄었다. 할인점은 이 기간 매출 증가율이 0.2%에서 -4.7%로 매출 감소를 경험했다. 전통시장 매출도 사고 이후 20∼30% 감소했다. 관광업계는 수학여행 금지 등으로 18만8000명 규모의 관광이 취소돼 316억원 규모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산됐다.
◆지역경제 회복세 주춤
지난해 하반기부터 호전되던 지역경제도 세월호 사고 여파로 주춤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안산지역의 식당, 노래방, 택시 등 회식과 관련한 업종의 매출이 절반 이상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인천지역은 서해5도 등 인천항 여객선 이용객이 70∼80% 감소했다. 동남권은 경주 등 수학여행 특수지역 숙박업계의 매출이 급감했고, 부산∼일본 간 여객선 단체여행객 1만여명이 예약을 취소했다.
◆위축된 경제심리 전환에 초점
정부는 세월호 참사로 직접적인 피해를 본 분야에 집중한 대책을 마련했다. 수학여행 취소로 피해를 본 사업자, 진도 어민, 안산 지역 영세사업자 등이 주요 대상이다. 이는 우선 소비 등 경제심리가 위축되는 것을 막는 데 무게를 둔 것으로 풀이된다.
LG경제연구원은 ‘최근 소비 동향’ 보고서를 통해 “사회적 불안과 심리 위축이 장기적으로 고착화할 경우 미약하나마 회복 추세를 보여오던 경기가 다시 위축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는 만큼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 |
박근혜 대통령이 9일 오전 청와대에서 세월호 참사에 따른 경기위축 여파를 점검하고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한 긴급 민생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회의에는 현오석 경제부총리(왼쪽 두 번째)와 민간 경제연구기관 관계자, 업체 대표 등이 참석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김철주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향후 경기 추이를 지켜보면서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을 세울 때 전반적인 거시정책 기조를 바꿀 필요가 있는지 면밀히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세종=우상규, 진도=한승하 기자 skwo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