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美 “외국 지도자 감시는 첩보의 기본”

입력 : 2013-10-30 20:09:19 수정 : 2013-10-31 02:52:46

인쇄 메일 url 공유 - +

클래퍼 DNI국장 시인… “백악관 NSC도 알고 있어”
국무부 “한국 등 의혹 제기 9개국과 협의 진행 중”
미국 정보기관 수장이 “감시활동은 첩보의 기본”이라며 세계 주요 정상들에 대한 도·감청을 사실상 시인했다. 독일을 비롯한 동맹국들은 물론 의회에서조차 국가안보국(NSA)의 도·감청 활동을 비판하자 정면돌파하는 쪽으로 전략을 바꾼 것으로 풀이된다.

뉴욕타임스 등에 따르면 제임스 클래퍼 미국 국가정보국(DNI) 국장은 29일(현지시간) 하원 정보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외국 지도자들의 의중을 파악하는 것은 정보활동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밝혔다. DNI 국장은 NSA와 중앙정보국(CIA) 등 미국 정보기관들을 총괄·지휘한다. 클래퍼 국장은 ‘국외 감청정보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에 전달될 수 있느냐’는 의원 질의에 “해당 정보를 접할 수 있는데다 실제 알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영화 ‘카사블랑카’의 “세상에, 여기 도박판이 벌어지고 있군”이라는 대사를 언급하며 “동맹국들도 미국을 상대로 이런 첩보활동을 벌인다”고 강조했다.

동석한 키스 알렉산더 NSA 국장은 NSA가 도·감청 활동을 벌였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 “완벽한 오보”라고 주장했다. 그는 “유럽의 민간인을 상대로 (직접) 수집한 정보가 아니다”며 “많은 경우 (방어와 군사작전 차원에서) 유럽 정보기관들이 모은 정보를 NSA와 공유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 국무부는 감청 논란과 관련해 한국 등 관련국들과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젠 사키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우리는 대화 의지를 표명한 여러 국가들과 협의를 계속 진행하고 있다”며 구체적으로 한국과 영국, 스페인, 이탈리아, 멕시코, 콜롬비아, 페루, 브라질, 인도 9개국을 거론했다. 미 정부 당국자가 이번 도청 논란과 관련해 공식 석상에서 한국을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미국 정부가 의혹 부인 등 기존 수세적 입장에서 벗어나 공세적으로 나오는 것은 의회의 최근 움직임과 무관치 않다는 지적이다. 존 코니어스(민주·미시간) 등 하원의 민주·공화당 의원들은 이날 NSA의 정보수집 활동을 제한하는 내용의 법률안을 제출했다. 그간 NSA 첩보활동을 적극 옹호해온 존 베이너(공화·오하이오) 하원의장도 “우리가 이번에 균형을 잃은 것은 확실하며 올바른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독일은 미국의 동맹국들도 통화기록을 수집하고 있다는 미국 측의 주장을 정면 반박했다. 독일의 연방정보국(BND) 게르하르트 쉰들러 국장은 “미국 워싱턴 주재 독일 대사관에서는 어떠한 통신 감청 활동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고 차이트 온라인이 보도했다.

한편 이탈리아 일간 라스탐파 등은 이날 유럽연합 소식통들을 인용해 러시아가 지난달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당시 참여 정상들의 전화통화·이메일을 감청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가 이들 정상에게 휴대전화 충전기와 USB(보조기억장치)를 제공했는데 여기에 감청장치가 들어있었다는 것이다. 이에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레믈궁 대변인은 “(서방국의) 물타기 시도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송민섭 기자 stsong@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