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지역신문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 온라인판은 연방항공청(FAA)이 지난주부터 주요 활주로를 이용하는 모든 항공사에 GPS를 기반으로 한 지역항법(Area Navigation·RNAV)으로 착륙하도록 권유하고 있다고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역항법은 여객기가 GPS 등을 이용해 자동으로 설정된 임의의 항로로 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는 아시아나기 사고 이후 조종사의 육안을 기초로 하는 '시계 접근'(visual approach) 방식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 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조종사들은 날씨가 맑으면 대체로 시계 착륙을 하며, 그렇지 않으면 공항의 활주로 '경사 감지장치'(glide slope indicator)의 도움을 받아 착륙을 시도한다.
그러나 샌프란시스코 공항의 경사 감지장치는 공항 측 건설 문제로 지난달 1일부터 다음달 22일까지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FAA는 사고 이후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시계 접근으로 착륙을 시도한 한국 등 해외 항공사 여객기의 복행(go-around) 횟수가 평소보다 더 많았다고 설명했다.
복행은 항공기가 착륙할 때 기상불량, 진입고도 불량 등의 이유로 착륙을 포기하고 다시 상승하고 나서 착륙을 재시도하는 것이다.
다만, FAA측은 복행 횟수에 관한 구체적인 수치는 언급하지 않았다.
FAA는 주의를 기울인다는 차원에서 '일시적으로'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전했다.
지역항법 착륙 방식이 권고되는 활주로는 아시아나기 착륙 사고가 발생한 28L 활주로와 이와 나란히 하고 있는 28R 활주로다.
이 방식이 모든 외국 항공사에 적용되는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조종사들이 대체로 관제탑의 지시에 따르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