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업체 낙점 받기 위해…가격 인하 등 치열한 경쟁 정부가 올해 제주도민 160명에게 전기차 구매보조금을 지급한다. 2009년 전기차 활성화방안이 발표된 후 전기차 상용화를 위해 민간에 보조금이 지급되는 건 처음이다. 녹색성장을 표방한 과거 이명박정부와 달리 창조경제를 내세운 박근혜정부가 비싼 차값과 충전인프라 부족 등으로 지지부진한 전기차(EV)시장에 불을 댕길지 주목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제주도는 이르면 5월 도민을 상대로 전기차 구매보조금 대상자 160명을 모집한다. 전기차시장 ‘허브’를 노리는 제주도는 도출신 유명인사, 에너지 소외계층 등을 우선 선정할 생각이다. 이들에게 제공되는 보조금 규모는 세제 혜택을 포함해 2700만원가량이다. 환경부와 제주도가 각각 1500만원과 800만원을 지원하고, 취득·교육세 등 420만원가량이 면제된다. 공영주차장 이용료 할인 등 혜택도 있다. 결국 4500만원 안팎인 전기차를 제주도민은 2000만원 안팎에 구입할 수 있다는 얘기다.

기아자동차도 4500만원인 레이 전기차로 이번 사업에 참여하지만 대량 양산 계획은 없다. 올해 서울시의 전기차 셰어링 사업에 집중한 후, 내년에 쏘울 전기차로 판매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가능성이 높다.
제주도 관계자는 “전기차 연료비는 기존 연료차의 10% 수준”이라며 “5∼6년만 운행하면 실제 차값만큼 절약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다른 지자체들이 보조금 지급에 가세하더라도 충전인프라가 확충되지 않으면 시장이 확대되기는 힘들 것이라는 지적이다.
정재영 기자 sisleyj@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