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중은 16%·혈압은 25% 영향 국내 연구진이 한국인의 키와 혈압·비만 등 각 형질에 유전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계산해냈다.
서울대학교는 19일 김희발 농생명공학부 교수팀이 경기도 안산·안성지역 8842명의 유전 및 형질 정보를 취합하고 이를 동물 육종학 통계 모델에 적용, 49가지 형질별 유전 영향도를 분석·추정해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 한국인 키의 약 32%, 수축기 혈압의 약 25%는 유전의 영향, 즉 유전인자로 설명될 수 있는 부분이었다. 또 몸무게의 16%, 엉덩이 둘레의 13%, 허리 둘레의 11%, 폐활량의 23%, 총 콜레스테롤의 16%, 혈장인슐린(식후 2시간)의 14% 등이 유전의 영향에 따른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진은 이와 함께 인간의 형질이 소수의 유전자가 아니라 유전체 전체에 퍼진 수많은 유전자로부터 복합 영향을 받는다는 ‘다인자성’도 입증했다. 평균적으로 염색체 길이가 길수록 형질이 유전에 영향을 받는 정도인 ‘유전력’이 커진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번 연구에는 김 교수팀뿐 아니라 국립보건연구원, 조앤김 지노믹스(서울대 지주사 자회사), 양지안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대 박사 등이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최근 유전학 분야 세계적 학술지인 ‘프로스 제네틱스(PLoS Genetics)’ 온라인판에 소개됐다.
김수미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