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경대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이상윤(사진) 교수는 혈관이동형 마이크로로봇을 개발, 특허청에서 특허등록을 받았다고 16일 밝혔다.
이 교수가 개발한 마이크로로봇은 자체 추진기가 장착돼 상하좌우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자체 추진기를 장착한 마이크로로봇을 개발한 것은 이 교수가 세계에서 최초다. 혈관과 같은 아주 좁은 곳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이동하기 위해서는 추진장치가 있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기술로는 아주 작은 크기의 마이크로로봇에 추진장치를 장착할 수 없다. 마이크로로봇의 크기가 1㎜인데 마이크로모터의 지름이 1~2㎜라는 것이다.
이 교수는 “그동안 자석을 이용해 외부에서 마이크로로봇을 조정하거나 박테리아를 이용해 목표물을 찾아가는 방식이 이용됐지만 상하 이동이 안 되거나 인간이 원하는 방향으로 미세하게 조종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며 “마이크로로봇 내부에 유체가압 추진장치를 설치해 이 한계를 극복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또 “마이크로로봇은 360도 방향 전환이 가능하며 좁은 혈관 속에서 정지하고 제자리에서 방향을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며 “병변 미세접근과 제거 위한 마이크로-나노로봇 증강 현실시스템, 혈관탐사 마이크로-나노 로봇조종시뮬레이터시스템 등 5가지 기술에 대해 특허출원을 했다”서 밝혔다.
그는 “5가지 기술이 특허등록되면 마이크로로봇기술 개발을 진행중인 미국과 일본, 이스라엘보다 앞서게 되며 관련 특허를 장악해 세계 최고의 마이크로로봇 기술을 보유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부산대 조선해양공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정치외교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과학기술정책(STS) 박사과정을 수료한 이 교수는 언어장애를 딛고 올 초 국립대 교수로 임용돼 화제를 모았다.
부산=전상후 기자 sanghu60@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