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피자 나눠먹으면서 빵 사면서 이래서 수학이 필요한거야

입력 : 2011-10-07 21:22:37 수정 : 2011-10-07 21:22:37

인쇄 메일 url 공유 - +

수학자 소재 유머와 삽화 곁들여…생활속의 유용함 위트있게 그려
로뱅 자메 글/핀조·송진욱 그림/박나리 옮김/노란상상/1만1000원
그러니까 수학이 필요해 /로뱅 자메 글/핀조·송진욱 그림/박나리 옮김/노란상상/1만1000원


프랑스 파리의 과학박물관 수학 부서 연구자로 일하는 수학자 로뱅 자메가 쓴 이 책은 수학 무용론에 대한 한 권의 유려한 답변서다. 그는 빵을 사면서, 음악의 박자를 맞추면서, 피자 조각을 나눠 먹으면서 수학을 하고 있는 우리의 수학적인 삶을 위트 있는 문체로 그려 나간다. 로또복권에 당첨될 확률에서부터 수학 덕분에 가능해진 파일 압축 이야기, 휴대전화 통신망을 잇는 안테나 설치 문제, 주식 사기를 찾아내는 데까지 이용되는 수학의 유용성은 상상 이상이다.

이 책은 수학에 대한 개념을 알려주는 방식으로 다른 학습서들과 차별화한다. 무한하게 이어지는 파이의 숫자에는 내 전화번호도 들어있을까. 컴퓨터는 곱하기를 정말 싫어하는데 한번 확인해 볼까. 이런 식으로 수학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지만 나오는 수학 문제는 단 2개뿐. 피자를 나눠 먹을 때 쓸 수 있는 곱셈 공식과 문제풀이 과정, 곱하기를 싫어하는 컴퓨터를 위해서 곱셈 횟수를 줄여주는 계산법이다. 

이 책의 하이라이트는 수학을 너무 좋아하는 사람들로부터 듣는 ‘수학 예찬’론이다. 수학교수 겸 수학자인 제럴드 트낭봄은 “이해하기만 하면 하나도 외울 필요가 없다는 것”과 함께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소수의 나열이 너무나 아름답고 신비로워서” 수학을 하기로 결심했다. 또 “내가 증명해 낸 연구결과를 적용했는데 그럴 때 기분이 좋다”는 것도 이유였다. 장폴 알루슈는 “수학은 공짜로 즐길 수 있는 재미난 놀이”라면서 “복잡한 (과학)실험을 할 필요도 없이 내 머리와 종이, 연필만 있으면 된다”고 장점을 소개했다.

헝가리 수학자 알랭 콘스는 “불행한 기분이 들면 행복해지기 위해 수학을 하고 행복하다면 계속 행복하기 위해 수학을 한다”고 적었다. 20세기 초의 위대한 수학자 데이비드 힐버트의 자부심은 대단했다. 자신의 학생 한 명이 “시 쓰는 것에 집중하려고 수학을 그만두기로 했다”는 이야기에 다음과 같이 대답한다. “내 그럴 줄 알았네. 그 학생은 수학을 하기에는 상상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했지.” 

수학선생님들이 어떻게 수업을 할까를 다룬 장은 우리 수학 교육현장에도 시사점을 던진다. 책 속의 선생님들은 항상 놀이를 하는 기분으로 수업을 하지만 너무 빨리 답을 찾아내는 것을 피하고, 우리가 찾아낸 방법을 매번 다시 증명하게끔 하는 엄격한 수업도 필요하다고 말한다. 수학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기보다 문제를 스스로 찾아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수학은 정말 쓸모가 없을까”를 놓고 변호사와 검사가 대결을 펼치는 모의 법정 장면도 재미있다. 1900년대 영국 수학자 하디가 연구한 정수론은 그의 사후 30년이 지나 은행이나 군대에서 사용되는 암호 해독 시스템을 만드는 데 이용됐다며 변호사는 수학의 유용성을 주장한다. 반면 검사는 “수학이 쓸모 있다고 말하는 것은 수학을 모욕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바로 쓸모 없음에 수학의 아름다움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성인들도 수학공부가 이렇게 재밌는 거였다니, 하며 학창시절을 후회할 만하다. 노란상상의 ‘그러니까 필요해’ 시리즈는 곧 역사, 과학, 음악, 미술편 등이 간행될 예정이다.

김은진 기자 jisland@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