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8쪽 분량의 자서전은 프롤로그 ‘택시운전하는 도지사’와 ‘배고픈 시골 아이의 꿈’, ‘명문대생, 공장 노동자가 되다’, ‘암울한 시기에 피어난 사랑과 결혼’, ‘두번째 투옥과 무너져 내린 꿈’, ‘국민머슴으로 10년’, ‘택시운전사 김문수’ 등 본문 6장, ‘글을 마치고’ 등으로 구성됐다.
자서전은 청색 재킷을 입고 꽃다발을 든 김 지사의 사진과 함께 푸른 색으로 ‘靑’자를 크게 부각시켜 표지를 디자인했다.
지은이 노하린씨는 ‘글을 마치고―푸르른 청(靑)을 생각나게 하는 사람’을 통해 “왜 사람들이 김 지사를 ‘진정성 있는 정치인’이라고 하는지 계파를 초월해 ‘대한민국파’라고 하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다. 늘 푸른 청년의 마음을 간직한 사람”이라고 책 제목의 취지를 설명했다.
그러나 잠룡으로서의 대권 의지를 중의적으로 표현했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이다. ‘靑’이 대통령 관저인 청와대를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김 지사의 한 측근은 “표지에서 ‘靑’자를 강조하자고 출판사에서 제안했었다”며 “대권주자로서 청와대를 향한다는 의미가 짙은 것 같아 내부적으로 표지가 ‘튄다’는 의견이 있었는데 김 지사가 표지 디자인에 흔쾌히 동의했다”고 말했다.
수원=김영석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