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가계부채 종합대책 마련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가계빚 증가 속도를 둔화시키고, 변동금리·거치식·일시상환 위주의 대출구조를 개선해 선제적으로 가계 부실을 막겠다는 큰 틀은 정했다. 그러나 각론에서 부처 간 이견, 이해관계에 얽힌 금융권의 반발 등으로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는 후문이다. 금융위원회는 이르면 다음주 초 관련 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가계대출의 80% 이상이 변동금리, 거치식 일시상환 구조를 택해 부실 위험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안정적인 구조인 고정금리, 분할상환 대출을 장려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재정부가 세수감소를 이유로 난색을 표하고 있어 대책에 포함될지는 아직 분명치 않다.
금융위는 아울러 은행 등 금융회사가 자발적으로 고정금리·분할상환·장기대출 영업에 나서도록 독려하기 위해 변동금리·일시상환 대출보다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을 낮게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금융회사는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이 낮아진 만큼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을 비롯한 재정건전성이 탄탄해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당국은 반대 급부로 가계대출을 지나치게 많이 취급한 기관에는 BIS 비율에 불이익을 주는 방안도 검토대상에 올려놓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의 거치기간을 제한하고, 변동금리 대출을 고정금리로 전환할 때 내야 하는 조기상환 수수료를 한시적으로 감면하는 방안도 검토 대상이다. 다만 수수료 감면에 따른 수익 악화로 금융회사의 반발이 예견돼 감면 시한을 두고 당국의 고민이 깊은 것으로 전해졌다.

황계식 기자 cul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