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형+A형’, 가장 이상적 연애 및 결혼 커플
결혼을 앞둔 예비 신랑신부들은 O형과 A형의 혈액형 결합이 가장 이상적인 연애 및 결혼 커플이 될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결혼정보회사 비에나래(대표 손동규)가 재혼전문 사이트 온리-유(www.ionlyyou.co.kr)와 공동으로 5월 12~18일 전국의 초혼 및 재혼 희망 미혼남녀 516명(남녀 각 258명)을 대상으로 전자메일과 인터넷을 통해 ‘혈액형의 관점에서 볼 때 가장 이상적인 연애 커플과 결혼커플’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이다.
우선 “가장 이상적인 연애 커플은 자신의 혈액형과 어떤 혈액형 간의 결합입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남성 응답자의 22.5%와 여성의 21.7%가 ‘O형+A형’으로 답해 각각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남성은 ‘B형+B형’(20.2%) - ‘O형+AB형’(19.0%) - ‘B형+O형’(14.1%) - ‘A형+A형’(12.4%) 등의 순으로 답했고, 여성은 ‘O형+A형’에 이어 ‘B형+A형’(19.8%) - ‘B형+B형’(18.7%) - ‘B형+O형’(15.7%) - ‘O형+O형’(13.9%) 등의 순이다.
![]() |
◇ 결혼 후 가장 화기애애하게 지낼 것 같은 혈액형 조합은? |
그 외 남성은 ‘A형+A형’(22.0%), ‘O형+O형’(16.1%), ‘B형+O형’(14.7%), ‘B형+B형’(11.2%) 등이 뒤따랐고, 여성은 ‘O형+O형’(18.5%), ‘B형+B형’(15.4%), ‘A형+A형’(11.5%), ‘B형+O형’(10.9%) 등의 결합을 꼽았다.
비에나래의 손동규 명품커플위원장은 “O형은 활동적이고 배려하는 면이 강한 반면 A형은 상대적으로 정적이고 섬세한 면이 강하다고 알려져 있다”며 “상호 보완적인 면이 강하고 조화가 잘 이루어져 선호하는 혈액형 결합이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재미있는 사실은 연애커플에 비해 결혼커플이 ‘A형+A형’, ‘O형+O형’ 등과 같이 동일 혈액형을 희망하는 비중이 높다는 점이다. 연애커플의 경우 동일 혈액형간의 결합을 원하는 비중이 남성 38.6%, 여성 36.3%이나 결혼커플에서는 남성 49.3%, 여성 50.8%를 차지하여 결혼커플이 남녀 각 10.7%와 14.5% 높은 것.
이와 같은 현상에 대해 온리유의 이경 명품매칭본부장은 “이성교제를 할 때는 아무래도 자신과 대비되는 이성을 통해 색다른 경험을 원하는 경향이 있다”며 “그러나 결혼은 조화나 화합이 중시되므로 비슷한 성향을 찾는 사례가 많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결혼 후 충돌 많을 커플, 男‘B+A’ vs 女‘B+B’
반면 ‘결혼생활에서 의견 충돌이 가장 많을 것 같은 혈액형 조합’에 대해서는 남녀 간에 다소 시각 차이를 보였다.
남성은 B형과 A형(26.4%)이 결합하면 의견충돌이 가장 많을 것으로 생각하고, 그 뒤로 ‘B형+O형’(20.2%), ‘AB형+AB형’(18.7%), ‘A형+A형’(12.8%), ‘O형+O형’(9.3%) 등이 뒤따랐다. 여성의 경우는 ‘B형+B형’(21.3%)이 가장 잘 맞지 많고, ‘B형+AB형’(19.9%), ‘B형+A형’(17.1%), ‘B형+O형’(15.9%), ‘A형+AB형’(12.8%) 등의 순으로 충돌이 많을 것으로 답했다.
![]() |
◇ 결혼 후 자신에게 충성도가 가장 높을 것 같은 혈액형은? |
‘배우자로서 자신에게 충성도가 가장 높을 것 같은 혈액형’에 대해서는 남성과 여성간에 의견이 일치했다. 즉 ‘A형’(남 53.1%, 여 41.9%)을 꼽은 응답자가 압도적 비중을 차지했고, ‘O형’(남 24.8%, 여 26.7%) - ‘B형’(남 17.7%, 여 22.9%) - ‘AB형’(남 4.4%, 여 8.5%) 등의 순을 보였다.
남녀 모두 A형의 이성이 결혼 후 충성도가 가장 높을 것으로 보나 남성의 호감도가 여성보다 11.2%나 높은 점도 이채롭다.
김현주 기자 egg0lov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