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한국서 천재가 나오지 않는 것은 지식만 강조하는 학교교육 때문"

입력 : 2010-07-20 17:50:27 수정 : 2010-07-20 17:50:27

인쇄 메일 url 공유 - +

랍비 초청 학술대회 여는 현용수 쉐마교육학회장 “한국에서 천재가 나오지 않는 것은 지식만을 강조하는 학교 교육 때문입니다.”

유대인 교육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기독교 학술연구단체인 한국쉐마교육학회의 현용수(63) 회장은 20일 한국 교육의 문제점을 이같이 꼬집었다.

현 회장은 한국에 보급된 대다수 탈무드 관련서의 저자인 유대교 랍비 마빈 토카이어와 함께하는 8월6일 ‘탈무드의 지혜교육 노하우’를 주제로 한 국제학술대회에 앞서 자신의 지론을 펼쳤다.

◇유대인 랍비 마빈 토카이어(왼쪽)와 현용수 한국쉐마교육학회장.
1960년대 미 공군 군종장교로 한국과 인연을 맺은 마빈 토카이어는 ‘탈무드의 지혜’, ‘탈무드의 처세술’ 등 20여권의 탈무드 관련서 저자다. 일본 와세다대 교수를 거친 그가 민간인 자격으로 한국에서 강연을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개신교 신자이자 학자로 미국에서 36년간 거주하면서 기독교 교육학 등을 전공하다 유대인 교육에 관심을 갖게 됐다는 현 회장은 “한국 학생들은 즉답을 요하는 퀴즈에는 답을 잘하지만 응용력이나 창의력, 엉뚱한 발상에는 지극히 취약하다”며 “이는 지식교육에 100%도 아닌 120%를 쏟아붓기 때문이며, 한국인들은 재주는 있는데 살리지 못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이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유대인 특유의 교육 방법에 주목해야 한다는 게 현 회장의 생각이다. 그는 “구약성경(토라)을 기반으로 하는 전 세계 종교는 유대교, 이슬람교, 개신교, 천주교가 있지만 노벨상 수상자를 낸 종교는 유대교가 32%로 월등하다”며 “그 비결은 유대인의 4차원 영재교육에 있다”고 말했다.

그가 말하는 4차원 영재교육의 가장 윗 단계는 지식보다는 인생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 활용하는 지혜를 강조하는 교육이다. 그다음은 율법교육이다. 유대인들은 613개의 율법을 통해 세상을 살아가는 동안 악인들의 올무에 걸려들지 않도록 교육받는다는 것. 율법교육의 바로 밑 단계는 IQ(지능)개발교육이다. 방식은 즉답보다는 부모자식 간에 질의응답을 통해 서서히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과 탈무드를 놓고 토론하는 형태로 이뤄진다.

가장 낮은 단계가 지식을 가르치는 학교 교육으로, 현 회장은 “유대인들은 학교 교육에 전체의 20% 비중을 두는 데 반해 한국은 지식 교육에 120%의 비중을 두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한국식 교육의 더 큰 문제점은 한국식 방법으로 부나 명성을 얻었다 해도, 그 부나 명성을 유지할 만한 사람의 그릇을 만들지 못하는 데 있다고 지적했다.

현 회장은 효교육과 관련해 “한국의 효는 유교적 관점에서 ‘조상에게 잘해야 후손이 잘된다’고 생각하는 데서 출발하는 반면, 유대인들은 하나님의 권위와 부모의 권위를 동일시하는 점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하나님의 말씀을 ‘자손대대로 전수하라’는 유대인의 가르침에는 하나님적 권위를 가진 부모의 권위가 존재하고, 따라서 유대인의 효는 종교적인 전통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번 학술대회와 관련해 현 회장은 “특정 종교를 떠나 독보적인 결과를 내고 있는 유대인의 다양한 교육 내용을 알릴 수 있는 자리가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학술대회는 서울 종로구 기독교100주년기념관에 열린다.

신동주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