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WT논평] A bumpy road for Ahmadinejad

관련이슈 WT사설-논단

입력 : 2009-09-11 20:19:49 수정 : 2009-09-11 20:19:49

인쇄 메일 url 공유 - +

By Asieh Mir(fellow at the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Overconfident about his domestic support and “smooth victory,” Iranian President Mahmoud Ahmadinejad seems to have a hard time seeing through his second term.

What seemed to be an easy victory for Mr. Ahmadinejad turned out to be a formidable challenge, which could lead to the downfall of his government, and/or even more to the collapse of the Islamic Republic. Several factors could cut the life of his government short; only a miscalculation or misstep from the United States or Israel could help him at this point.

Mr. Ahmadinejad has encountered a double-pronged crisis. There was the legitimacy crisis that ensued from the presidential election. The fraudulent election sparked a wave of protests in major cities. Mr. Ahmadinejad’s security forces brutally cracked down on the protesters, which only fueled the unrest and exacerbated the crisis.

Despite the regime’s brutality, the self-named “Green Movement” undertook a new strategy of peaceful civil disobedience, resulting in even more frustration for the regime and additional atrocities by it. The legitimacy of the regime is spiraling down as its barbaric behavior toward imprisoned demonstrators and opposition members become public.

The second part of the political crisis for Mr. Ahmadinejad’s administration comes from his own base.

Over the last four years, the rank and file of the conservative camp would not concur unanimously on Mr. Ahmadinejad’s policies and rhetoric. Over time, fissures within the conservative camp surfaced, which in turn caused a reconfiguration of the conservative elite.

The dilapidated economy will prove to be the regime’s Achilles’ heel. With the severe political and economic crises on his hands, Mr. Ahmadinejad will not survive for long.

The new situation in Iran is the worst-case scenario for him. He has lost his legitimacy among Iranian citizens; he is losing support in his own camp; and he is disgraced internationally. His persistent mismanagement of a crumbling economy with oil prices much lower than previous years work hand in hand to pull him down even without the help of external force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eems very concerned about Iran’s future defense and foreign policies. Israeli officials are talking about a possible strike on uranium development sites in Iran. Striking these sites will elicit furious responses from Iran. Faced with a foreign threat, Mr. Ahmadinejad will be able to unify the conservatives and arouse nationalist sentiments among the masses, as happened in the 1980s when Iran united to repel the Iraqi invasion. Given this kind of emergency, the regime would have a pretext to physically eliminate all dissidents. This is exactly what Mr. Ahmadinejad needs to survive.

이란 대통령의 험난한 미래
아시 미르(美 평화연구소 연구원)

지난 대통령 선거에서 국민의 지지와 “무난한 승리”를 과신한 이란 대통령 마흐무드 아흐마디네자드는 2기 재임 때 고생할 전망이다.

아흐마디네자드는 재임을 노리고 출마한 대선 승리가 쉬울 것으로 생각했으나 의외로 엄청난 도전에 직면했다. 그가 초래한 도전은 이란 정부를 붕괴시키고 심지어 이슬람 공화국의 파멸까지 초래할 수 있었다. 몇 가지 요인들이 아흐마디네자드 정부의 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현 시점에서는 미국과 이스라엘의 오판이나 실수만이 그를 도울 수 있다.

아흐마디네자드는 두 갈래 위기에 직면해 있다. 대통령 선거의 후유증으로 제기된 정통성 위기가 그 첫째다. 정부가 조직적으로 자행한 부정선거가 여러 대도시에서 항의사태를 촉발했다. 아흐마디네자드의 보안군이 항의시위자들을 무자비하게 진압하여 소요사태에 기름을 붓고 위기를 악화시켰다.

정권의 무자비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자칭 “녹색 운동”은 평화적인 시민 불복종 운동을 시작하여 정권의 좌절감을 더욱 심화시켜 추가로 가혹행위를 하도록 만들었다. 투옥된 시위자들과 재야인사들에 대한 정부의 야만적인 행동이 알려짐에 따라 정권의 정통성이 급격히 약화되고 있다.

아흐마디네자드 정부의 두 번째 정치 위기는 그 자신의 지지 기반인 이슬람 보수파 여권 내부에 원인이 있다.

지난 4년 동안 보수진영은 아흐마디네자드의 정책과 발언에 만장일치로 찬성하지 않았다. 시간이 지나는 동안 보수진영 내부에 틈이 생겨 겉으로 표면화되었으며 이 같은 균열은 보수 엘리트계층을 재편성하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피폐한 경제는 정권의 아킬레스건이란 사실이 드러날 것이다. 국내에서 심각한 정치 및 경제 위기에 직면한 아흐마디네자드는 오래 살아남지 못할 것이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이란의 새로운 정세는 그에게 최악의 시나리오다. 그는 이란 국민들 가운데서 정통성을 잃었다. 자기 진영 내부에서도 지지를 잃고 있다. 국제무대에서는 망신을 당하고 있다. 무너지는 경제를 계속 잘못 운영한 것과 국제유가의 전년대비 하락이 맞물려 외부의 압력 없이도 그를 몰락으로 내몰고 있다.

국제사회는 이란의 장래 국방 및 외교 정책을 깊이 걱정하는 듯이 보인다. 이스라엘 관리들은 이란의 우라늄 처리 시설을 폭격할 가능성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 외국이 군사력을 동원하여 이란의 핵시설을 공격할 경우 이란 국민의 격렬한 반응을 촉발할 것이다. 외부의 위협에 직면할 경우 아흐마디네자드는 보수세력을 단결시키고 대중의 민족주의 정서를 자극할 것이다. 이란인들이 이라크의 공격을 격퇴하기 위해 단결했던 1980년대에 그런 일이 벌어졌다. 이런 종류의 위기가 생기면, 이란 정권은 모든 반정부 세력을 물리적으로 제거할 구실을 갖게 된다. 이는 바로 아흐마디네자드가 살아남는 데 필요한 것이다.

역주=오성환 외신전문위원

suhwo@segye.com

해설판 in.segye.com/english 참조

▲cut short:단축하다 

▲configure:모양을 만들다 

▲eliminate:제거하다 

▲dissident:반체제 인사


오피니언

포토

박규영 '사랑스러운 볼하트'
  • 박규영 '사랑스러운 볼하트'
  • 유진 '강렬한 눈빛'
  • 박보영 '뽀블리의 미소'
  • [포토] 고윤정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