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카디건과 터틀넥 스웨터로 세련되게
어떤 옷에나 가볍게 걸칠 수 있는 카디건은 하나쯤 마련해 둬야 할 겨울 대표 아이템이다. 목이 길게 올라오는 터틀넥 스웨터나 셔츠 위에 덧입어 외투로 활용할 수 있고, 얇은 카디건은 코트 등의 외투 안에 덧입어 사무실 안에서 따뜻하게 입고 있어도 된다.
겨울까지 거뜬하게 소화할 수 있는 롱 카디건은 같은 계열 색상의 펜슬 스커트(무릎 길이의 타이트한 일자형 스커트)와 터틀넥 스웨터를 함께 입으면 여성스럽고 따뜻한 느낌을 준다. 헐렁한 롱 카디건은 단추를 채우지 않은 채 얇은 벨트로 느슨하게 여러 번 감싸서 허리선을 강조하면 독특한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

특히 아가일(스코틀랜드 아가일주의 이름에서 유래한 격자무늬) 카디건이나 니트 셔츠는 특별히 유행을 타지 않는 겨울철 인기 아이템으로, 어디에나 잘 어울리며 단조로운 겨울 의상에 포인트가 될 수 있다. 스트라이프 셔츠에 아가일 패턴 카디건을 겹쳐 입고 롱 카디건을 걸친 후 면 스커트를 함께 입으면 단정하면서도 개성 있어 보인다.
울, 캐시미어 소재를 사용한 터틀넥 니트 원피스는 여성스럽고 따뜻한 분위기를 내며 다양한 변화를 시도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여성스러운 니트 원피스에는 가죽 재킷을 매치하면 훨씬 세련돼 보인다.
니트 원피스에 길게 늘어지는 큼직한 목걸이를 착용하고, 얇은 카디건을 겹쳐 입은 후 벨트를 해주면 스타일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원피스 느낌이 나는 허벅지를 살짝 가릴 정도의 긴 터틀넥은 펜슬 스커트와 매치하면 여성스런 실루엣을 살릴 수 있다.
#남성―캐시미어 재킷으로 가볍고 든든하게
그동안 직장인 남성이 겨울철 수트에 조끼나 코트를 덧입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면, 최근에는 비즈니스 캐주얼 복장을 허용하는 기업이 늘어나면서 재킷, 점퍼 등 다양한 외투로 멋을 낼 수 있다.

울, 캐시미어, 실크 등 따뜻한 천연소재를 혼방한 재킷이 다양하게 나와 있고, 특히 캐시미어 재킷이 인기다. 갤럭시에서 출시한 ‘AL재킷’은 울, 캐시미어, 면 등 천연소재를 이용했으며, 안감을 없애고 부자재를 간소화하여 피부에 밀착되고 무게도 가볍게 제작됐다. 코트는 트렌치 코트 디자인이 가미되어 활동적으로 보이는 트렌치형 코트가 유행이다.
얇고 가벼운 카디건은 다양하게 겹쳐 입기 좋고, 품이 넉넉하고 두꺼운 카디건은 격식 있으면서도 편안한 느낌을 주는 외투로도 활용할 수 있다. 평범한 셔츠와 넥타이에 오렌지, 레드와 같이 따뜻한 색의 집업 카디건을 매치하면 생기 있어 보인다.
로가디스 김나라 디자인 실장은 “셔츠와 재킷 사이에 화사한 컬러의 카디건이나 니트를 겹쳐 입으면 한결 따뜻해 보인다”며 “회색 재킷에 바이올렛 카디건과 네이비 셔츠를 겹쳐 입거나, 브이(V)넥 레드 니트와 화이트 셔츠를 겹쳐 입으면 따뜻하면서도 밝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목 부분이 풍성한 터틀넥 스웨터는 머플러를 두른 효과도 낼 수 있다. 터틀넥 스웨터, 셔츠, 브이넥 스웨터를 차례로 겹쳐 입는 것도 보온성과 스타일을 동시에 살릴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체크 무늬 등의 패턴이 들어간 셔츠나 스웨터를 선택하면 의상에 포인트를 줄 수 있다.
#소품으로 목, 손목, 발목 따뜻하게
옷을 겹쳐 입어 공기층을 많이 만들어 주는 것이 웜비즈 패션의 기본이라면, 찬 바람이 들어올 수 있는 목과 손목, 발목을 따뜻하게 해서 체온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다.

목은 가장 노출 부위가 크고, 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목을 가려주고 감싸주는 것만으로도 보온효과가 크다. 갤럭시 정희진 디자인 실장은 “머플러를 잘 활용하면 따뜻하면서도 포인트가 된다”며 “주로 어두운 색상이 많은 겨울 옷에 오렌지, 레드 계열의 머플러를 둘러 생기를 줄 수 있으며, 무채색의 체크 목도리는 세련미를 강조해 준다”고 말했다.
장갑으로 손목과 옷 소매 사이로 들어오는 찬 공기를 막아주는 것도 필요하다. 장갑을 귀찮아하는 사람도 있지만 주머니에 손을 찔러 넣은 채 추위에 웅크린 모습보다는 장갑으로 손을 보호한 후 어깨를 펴고 당당하게 걷는 편이 낫다. 양말은 목이 긴 양말을 신어 발부터 외부 공기 접촉을 줄이는 것이 요령이다.
옷차림에 제약이 많기 때문에 젊은층으로부터 외면받던 내복도 올 겨울 다시 주목받고 있다. 반소매옷과 미니스커트 안에 입어도 보이지 않는 3부 길이의 내복이나 목선을 깊게 판 내복 등 젊은층을 공략한 다양한 디자인의 내복이 나와 있다. 내복을 입으면 통상 섭씨 3도 정도의 보온효과가 있다.
비비안 디자인실 우연실 실장은 “옷맵시 때문에 내복 착용을 꺼리는 사람들이 많은데, 요즘 나오는 내복은 겉옷 밖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얇은 원단을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백소용 기자 swinia@segye.com
〈도움말·사진:제일모직, 엠비오, 바나나리퍼블릭〉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