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소송 비화 등 후유증 만만찮을듯 미국 대선이 4일 시작된 가운데 일부 지역에서 부정 선거 논란이 일고 있어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주별로 투·개표 시스템이 복잡하고 선거 인프라가 충분치 않아 법정 소송 등 후유증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AP통신에 따르면 막판 초접전지로 분류된 버지니아주에서는 주 내의 흑인 밀집지역에 투표 기기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도록 투표시간을 연장해 달라는 전미유색인지위향상협회(NAACP)의 요청을 지역 판사가 거부하면서 논란이 벌어졌다.
NACCP는 즉각 연방법원에 소장을 내 투표 기기를 더 설치하지 않으면 이번에 대거 투표에 나선 흑인 유권자들이 한 표를 행사하기 힘들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버지니아 지방법원의 리처드 윌리엄스 판사는 결국 투표 기기를 더 설치하는 대신 투표 종료 시한인 4일 오후 7시까지 투표소에 도착해 줄을 선 사람들에 한 해 투표 기회를 주겠다고 약속했다.
공화당 캠프는 3일 밤 버지니아 선거관리위원회가 시한을 넘겨 도착한 해외 주둔 미군의 우편 투표까지 유효표로 간주하려 한다며 버지니아 선관위를 연방법원에 고발했다.
특히 이번 대선은 어느 때보다 많은 유권자가 투표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투표 체계가 2004년 대선 때보다 복잡해져 이 같은 잡음을 부채질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이번 대선에서 전체 유권자 중 3분의 2 정도가 종이 투표 방식으로 권리를 행사할 예정이고, 한때 터치스크린 기기를 도입했던 플로리다주도 투표용지에 표기하는 방식으로 회귀했다.
민주당 버락 오바마, 공화당의 존 매케인 후보 캠프는 이 같은 부정 선거 논란에 대비, 각 투표장에 변호사들을 파견해 투·개표 과정을 감시할 계획이다.
워싱턴=한용걸 특파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