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방관들의 평균 사망연령이 전체 공무원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열악한 근무여건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박대해 의원이 16일 공무원연금관리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퇴직연금 수급자 직종별 평균 사망연령’ 자료에 따르면 1998년부터 2007년까지 퇴직한 소방공무원의 평균 수명은 58.8세로 ‘단명 그룹’인 경찰직(62.3), 기능직(62.3), 공안직(61.6) 등에 비해서도 3∼4년 가량 더 짧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정년 57세를 채우고 퇴직한 소방공무원들이 평균 2년 이내 사망하는 셈이다.
특히 1998년 이후 올 9월 현재까지 각종 재난 현장에서 순직한 소방관 258명은 퇴직연금 수급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이들까지 포함할 경우, 전체 소방관 평균 수명은 더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반면 장관 등 정무직 공무원의 평균 수명이 72.9세로 공무원 중 가장 높았고 교사 등 교육직 공무원(67.7세), 법관ㆍ검사(66.2세), 국가 일반직 공무원(65.3세) 등이 뒤를 이어‘장수 그룹’을 형성했다.
아울러 소방공무원의 퇴직 비율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의원 측이 소방방재청으로부터 제출받은‘최근 5년 간 소방공무원 이직 및 퇴직 현황’에 따르면 총 1,830명 중 372명(20.3%)이 임용 이후 5년 안에 스스로 사표를 낸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퇴직한 서울시 교육 공무원의 임용 5년 이내 자진 퇴직 비율은 2.72%였다.
소방관의 짧은 수명과 높은 퇴직률은 만성적인 인력부족에서 오는 업무 부담과 스트레스에서 기인한다는 지적이다. 일선 소방현장에서는 여전히 24시간 2교대 근무 체제가 작동 중이며 예산 부족에 따른 장비 노후화 등으로 안전사고에도 그대로 노출돼있다.
박 의원은 “소방공무원의 근무여건이 가장 열악하다는 사실을 통계로 증명해보인 셈”이라며 “소방관들이 과중한 업무 부담과 안전 사고 위협 등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적절한 처우개선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별기획취재팀 tams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