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관련 논문으로 도쿄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지난달 1일 이 대학 교수로 임용된 현대송(玄大松·45·사진)씨의 말이다. 현 교수는 최근 벌어진 한일 간 ‘독도 대치’와 관련, “일본의 행위는 한국의 해저지명 공인 추진이나 대일 강경책에 밀리지 않겠다는 강경 대처로 파악해야 한다”면서 “자칫 독도가 영락없는 분쟁지역이 되지 않도록 한국 정부가 현명하게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국인으로서는 처음 이 대학 동양문화연구소 교수가 된 현 교수는 오는 10월부터 ‘동아시아 국제관계’ 등의 강의를 맡게 됐다. 도쿄대 동양문화연구소는 하버드 옌칭연구소에 비견되는 동양학의 메카로 알려져 있다. 현 교수는 한국외국어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1993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대 대학원 법학정치학 연구과로 진학, 석·박사 과정을 마쳤으며 2004년 1월 ‘전후 한·일 관계와 영토문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최근 일본의 양심적 지식인 다카하시 데쓰야(高橋哲哉) 도쿄대 교수의 ‘결코 피할 수 없는 야스쿠니 문제’라는 책을 번역하기도 했다. 현 교수의 박사학위 논문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으로 대표되는 미국의 애매한 일본 패전처리와 1965년 한일 기본조약을 고찰하면서 독도 영유권을 둘러싼 한일 대립사를 연구했다.
“1965년 이후 한일 양국 사이에는 10년 꼴로 분쟁의 큰 파동이 있었습니다. 지난해와 올해는 4번째 주기인 셈인데 이런 파동을 거치며 한국인과 일본인의 뇌리에는 각각 ‘일본의 군국주의가 다시 도졌다. 옛날 버릇 못 고쳤다’, ‘한국의 국가주의적 성향이 강해졌다’는 인식이 각인됐습니다.”
현 교수의 논문은 1990∼2001년 발간됐던 한국(9개지)과 일본(5개지) 신문의 독도 보도 논조 분석 및 한국 초·중·고교생(2112명)의 대일 의식조사 등을 통해 ‘파동’이 남긴 부정적 여파를 확인했다.
도쿄=정승욱 특파원
jswoo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