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리 장관은 2일(현지시간) “핵 없는 한반도가 한·미 양국의 공동목표”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외교장관 회담 후 가진 공동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한 뒤 “남북관계 개선이 그런 목표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데 윤 장관과 의견을 같이했다”고 전했다. 이어 “지난 며칠 동안 북한 정권으로부터 엄청나게 많은, 용납할 수 없는 언사를 들었다”면서 “분명히 밝히는데, 미국은 우리 자신과 동맹인 한국을 방어하고 보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케리 장관은 “김정은이 지금까지 선택한 것은 도발로, 이는 위험하고 무모하다”면서 “미국은 절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그는 “북한은 (협상) 테이블로 돌아올 수 있다”면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이 도발을 중단하고 진지한 논의에 참여하면 대화와 협상에 나설 준비가 돼 있음을 여러 차례 밝혔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향후 태도에 따라 미국의 대북정책 방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내비친 것이다.
윤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핵·재래식 도발에 대응해 신뢰할 수 있고 강력한 억지력을 강화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면서 최근 한·미 양국이 서명한 ‘공동 국지도발 대비계획’을 평가했다. 윤 장관은“북한이 핵야망을 포기하고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행동한다면 한반도의 평화 프로세스를 가동할 대화를 재개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미 백악관은 북한의 영변 핵시설 재가동 발표와 관련해 국제의무 위반이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 결정은 그동안 보인 행동 패턴 일부로, 국제의무를 위반하겠다는 점을 다시 보여주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카니 대변인은 “미국은 동맹과 긴밀히 협조하고 있고 중국과 러시아로 하여금 북한을 더 압박하도록 권고하고 있다”며 “미국과 국제 파트너들은 한반도의 비핵화와 동북아시아의 평화·안정이라는 공통목표가 있다”고 설명했다.
빅토리아 눌런드 국무부 대변인도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핵무기 국가로 인정받기를 원하는 것 같다’는 지적에 “톰 도닐런 국가안보보좌관이 최근 강조했듯이 미국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며 “북한이 그 시설을 다시 사용한다면 극도로 우려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워싱턴=박희준 특파원 july1s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