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통일이 미래다] 천편일률 교육 방식…정권 입맛따라

관련이슈 통일이 미래다

입력 : 2012-03-14 20:54:51 수정 : 2012-05-09 14:44:34

인쇄 메일 url 공유 - +

1부 통일담론 물꼬를 트자…④ 겉도는 통일교육 “북한 학교에서는 ‘미국놈 까부수기 수류탄 던지기 대회’라는 걸 여는 데 그게 대입 성적에 포함됩네다.”

탈북자 출신 주모(33·여)씨가 북한 대학 입시의 한 단면을 소개하자 모여있던 학생들이 박장대소한다. 하지만 주씨가 탈북하려다가 붙잡혀 총살된 주민들 사진을 보여주자 분위기는 이내 숙연해졌다. 12일 서울 구로구 서서울생활과학고 통일관. 통일부 산하 통일교육원이 주최한 ‘찾아가는 통일교육’ 강연장 분위기는 열띤 듯하면서도 무심했다.

이 학교 3학년생 90여명 중 대다수는 주씨와 보조 ‘눈높이 강사’ 김모(33·여)씨가 생생하게 들려주는 북한 실상에 대해서는 귀를 쫑긋하면서도 남북 통일의 당위성과 필요성을 설명하는 대목에서는 딴짓을 하거나 졸기 일쑤였다. 김씨는 “그래도 이 학교 분위기는 괜찮은 편”이라며 “최소 200명 앞에서 강연할 때가 대부분인데, 십중팔구는 대놓고 엎드려 잔다”고 귀띔했다.

초·중·고생과 일반인 대상 통일교육이 겉돌고 있다. 기본적으로 국민의 통일의식이 과거에 비해 상당히 희박해진 데다 교육방식 또한 강연과 견학 등 수십년 전과 별반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통일교육의 큰 축인 ‘북한관’ 역시 대북 관계와 집권세력 이념 성향에 따라 ‘교류’, ‘화해’, ‘경계’, ‘타도’ 대상으로 오락가락 한다. 오늘의 청소년들이 주역이 될지도 모를 ‘통일한국’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통일교육 내실화가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지적이 많다.

◆유명무실한 통일교육

14일 통일교육원에 따르면, 전국 초·중·고교생은 ‘통일교육 지원법’(1999년 제정)에 따라 정규수업과 창의적 체험활동, 방과후학교 등을 통해 통일교육을 받아야 한다. 국어와 도덕, 사회, 역사 등 정규수업 시간을 통해 초등생은 연간 20시간, 중학생은 9시간, 고교생은 통일교육 16시간을 이수하도록 돼 있다. 하지만 이를 지키는 학교는 많지 않다. 통일교육원의 2010년 설문조사를 보면 초교의 86%는 통일수업 시수를 준수하고 있지만 중학교는 53%, 고교는 47%에 그쳤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일환으로 이뤄지는 통일 관련 프로그램 또한 유명무실하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체험활동 시간에 통일교육을 실시하도록 권고하고 있지만 이는 38개 권고 분야의 하나일 뿐이다. 그마저도 인성교육과 성교육, 소비자교육 등 사회적 현안에 밀려 주된 관심사에서 멀어진 지 오래다.

일반인 대상 통일교육은 더욱 열악한 상황이다. 통일교육원이 지난해 전국 19개 지역교육센터에서 진행한 800회 통일교육 프로그램 이수자는 14만6870명. 전 국민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그마저도 이수자 대부분은 학교 통일교육이나 군부대 정신교육 담당자이거나 관련 부처 공무원, 통일·대북 단체 관계자들이다.

일부 기업이 직원들을 대상으로 통일교육 강연회를 열기도 하지만 이 또한 개성공단 등 대북사업 참여업체가 대부분이다. KBS1의 ‘남북의 창’과 MBC ‘통일전망대’ 등 일반 국민이 손쉽게 북한 관련 소식이나 정부 통일 정책을 접할 수 있는 지상파TV 프로그램도 취약시간대 편성돼 있어 시청률이 5% 안팎에 불과하다. 

12일 서울 구로구 서서울생활과학고 강당에서 통일교육 강사가 처형당한 북한 주민 사진을 보여주며 설명하는 동안 몇몇 학생은 고개를 떨군 채 자고 있다.
◆천편일률적인 교육 방식

통일교육이 겉도는 까닭은 갈수록 희박해지는 통일의식과 강연회 등 틀에 박힌 교육방식, 일관성 없는 교육내용 등에 기인한다. 특히 청소년의 통일의식은 해를 거듭할수록 떨어지고 있다. 통일교육원에 따르면, 청소년들의 ‘통일에 대한 관심’은 1997년 71.0%에서 2010년 57.3%로 떨어졌다.

북한 전문가 강연회나 판문점 견학 위주의 천편일률적인 교육방식도 학생들의 관심을 떨어뜨리고 있다. 이명박 정부는 통일 강연 질 제고와 콘텐츠 개발 등을 위해 통일교육 예산을 올해 199억원 등 전임 정부와 비교해 3배 가까이 늘렸다. 강연 질을 높이기 위해 ‘눈높이 강사’와 탈북자 강사를 대거 양성했고, 전국 초·중·고교에서 교육자료로 활용할 인터넷용(IPTV) 동영상 콘텐츠를 280여편 개발했다.

하지만 학생들 반응은 여전히 냉담하다. 학교통일교육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2003년 21.4%에서 지난해 27.3%로 소폭 올랐다.

정권의 성격 따라 들쭉날쭉한 통일교육도 문제다. 2003년부터 통일교육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는 탈북자 주씨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통일부에서 ‘가급적이면 여기에 중점을 두고 강의해 달라’고 부분이 달라진다”고 말했다.

송민섭·김희원 기자 20120314022450 1001//005/기/통일이미래다/메인/유명무실한 통일교육, 현황과 문제점 12일 서울 구로구 서서울생활과학고 강당에서 통일교육 강사가 처형당한 북한 주민 사진을 보여주며 설명하는 동안 몇몇 학생은 고개를 떨군 채 자고 있다. //img.segye.com/content/image/2012/03/14/20120314022450_0.jpg 1 10 09 6 저작자 표시 + 변경금지 N 20120131004520 분단 60년역사 ‘실용적 통일론’ 키웠다 20120131160732 20120509213420 20120131184133 ‘우리의 소원은 통일, 꿈에도 소원은 통일’로 시작되는 노래를 기억하는 국민이 많다. 우리는 왜 꿈에서도 통일을 소원해야 할까. 원래 우리나라는 통일된 민족이기 때문이다.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 1300년 넘게 단일민족을 이루며 살아왔으니 지금의 분단사를 극복하는 것은 한민족의 역사적 요구”(김충환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장·한나라당)라는 것이다. 같은 언어와 역사, 운명을 공유한 민족의 통일은 당연하다는 당위론이다. 분단 60년 역사는 그러나 민족적 동질성에 기초한 통일론보다는 평화에 대한 소망, 경제적 도약, 정치적 통합과 같은 실용적 통일론을 키웠다. 북한의 안보 위협을 피하고, 정치·군사·사회·경제적 분단 비용을 줄이기 위해, 선진국으로 진입하기 위한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통일이 필요하다는 실용론이다. 여기에는 통일을 이루는 데 들어가는 비용보다 통일로 인한 편익이 훨씬 크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익명을 요구한 전직 통일 차관은 “통일은 대한민국이 선진일류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미래를 담보하는 일”이라면서 “내수시장 확대, 단일경제권 형성, 이념갈등 극복, 동북아 및 한반도 평화 정착 등 통일에 따른 편익이 엄청 크다”고 말했다. 남경필 전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장(한나라당)은 “통일연구원 보고에 따르면 한국은 통일 직후 10년간 국내총생산(GDP) 대비 6.6∼6.9%를 통일 비용으로 지불하지만 연간 11.25% 경제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다”면서 “통일은 미래를 위한 적극적 선택”이라고 강조했다.남북관계발전특위위원장인 박주선 의원(민주당)은 “통일은 사실상 ‘섬’인 남한을 ‘반도국’으로 회복시켜 유라시아 대륙 진출의 기회를 열어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홍순직 현대경제연구원 통일경제연구센터장도 “남한 경제가 그동안 압축 성장을 통해 발전해 왔지만 이제 한계가 있다”며 “반도국의 한계를 벗어나 대륙으로 뻗어나가려면 통일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북한의 핵개발은 한반도 리스크를 키우는 핵심이다. “북핵을 머리에 이고 남한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는 점에서 통일이 필요하다”(김흥광 NK지식인연대 대표) “북한의 존재 자체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오경섭 세종연구소 연구위원)는 ‘평화보장론’이 나오는 배경이다.북한 주민의 인권·자유 회복도 통일이 필요한 주요 이유 중 하나다. 엄종식 전 통일차관은 “북한 주민도 우리와 똑같이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를 누려야 한다”며 “인간의 기본적 권리 회복보다 더 중요한 것이 뭔가”라고 반문했다. 남북 이산가족의 아픔 역시 통일로 치유해야 할 과제다.박성준·김유나·박영준 기자[ 관련기사 ]◆[통일이 미래다] 2부 ‘통일 공포증’을 벗자 ① 통일비용 제대로 알아야 (1/9)◆[통일이 미래다] 北 개방 이끌어내 남북격차 줄여야 (1/9)◆[통일이 미래다] 2부 ‘통일 공포증’을 벗자 ② 통일이 분단보다 나은 이유 (1/9)◆[통일이 미래다] 北서 발생하는 경제편익은? (1/9)◆[통일이 미래다] 통일재원 마련 지금부터◆[통일이 미래다] 獨 통일재원 마련 어떻게 했나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
  • 송지효 '바다의 여신'
  • 김다미 '완벽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