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열하는 유족 13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세브란스 병원에 차려진 고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의 빈소에 부인 장옥자(가운데)씨와 유족들이 오열하며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
고인의 사돈 부인은 “고인은 대단한 분이시기도 했지만, 가정에서는 다정한 남편이자 시아버지였다”고 전했다. 유족들은 장례격식으로 사회장과 국가장을 두고 검토를 하고 있다.
저녁 무렵부터 정동영 민주당 최고위원, 최시중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진념 전 부총리, 이기수 대법원 양형위원장, 강덕수 STX회장 등 주요인사들이 빈소를 찾아 고인을 추도했다.
진념 전 경제부총리는 “고인은 이 땅의 산업 근대화를 이끌던 주역”이라며 “산업의 쌀이라 불리는 철강 산업을 육성시켜 포스코를 세계 최고 수준의 철강회사로 키웠다”고 평가했다. 이외에도 6·25 때부터 만나 인연을 이어온 60년 지기 등 지인들이 빈소를 찾아 대쪽 같았던 생전 고인의 삶을 돌아보았다.
특히 고인이 젊은 시절 제철소 현장을 진두지휘한 게 사망원인일 것이란 분석에 조문객들은 옷깃을 여몄다. 고인은 석면을 주원인으로 발병하는 흉막 섬유종 수술에 따른 후유증으로 숨졌고, 실제로 지난달 수술 당시 폐 부위에서 석면과 규폐가 발견됐다.
장례준비 과정에서 고인이 생전 본인 명의의 재산이나 유산을 전혀 남기지 않은 사실도 밝혀졌다. 유족 측 대변인을 맡은 김명전 삼정KPMG 부회장은 “평소에도 경제적으로 풍족하지 않았다”면서 “큰딸의 집에서 살면서 생활비도 자제들의 도움으로 마련했다”고 말했다.
![]() |
헌화 13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세브란스 병원에 마련된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의 빈소에서 박 회장의 부인인 장옥자 여사가 영전에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
재계도 일제히 애도의 뜻을 밝혔다. 삼성은 애도성명을 내고 “박 명예회장은 삼성 창업주이신 고 이병철 회장, 고 정주영 현대 명예회장 등과 함께 우리나라의 개발연대를 이끌어오신 분이었다”고 말했다.
현대차그룹도 “한국의 경제발전에 기여한 고인의 뜻을 기리며 깊은 애도를 표한다”고 했다.
박현준·김희원 기자 hjunpar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