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광주광역시지부는 최근 성명을 내고 “인화학교는 자진폐교를 결정하고, 광주시교육청과 광주시청은 인화학교 사태를 매듭짓는 조치를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고 27일 밝혔다.
전교조 광주지부는 “법인에서는 해당자에 대한 징계는커녕 공식적인 사과 한마디 없이 교사, 학생, 학부모 그리고 시민들의 뇌리에서 2005년 성폭력사태가 잊혀지길 기다리고 있는 것 같다”며 “뿐만 아니라 청각장애학교를 종합장애학교로 확대하기 위해 학교 이름을 바꾸고 신장개업할 목적의 행정절차를 밟기까지 했다”고 염려했다.
성폭력 사건 이후 인화학교가 취한 조치는 ▲피해학생 치유 및 보상, 법인 정상화 약속 불이행 ▲사회복지법인 ‘우석’ 광산구청 감사 거부 ▲인화학교 정상화 요구 교사들 중징계 ▲성폭력사건 최초 제보자 부당해고 ▲피해자에게 합의 요구 ▲성폭력 교장 및 행정실장 등의 가해자 징계 없음 ▲성폭력 가해자인 당시 교장 초상화 학교 현관 게시 등이라고 전교조 광주지부는 밝혔다.
논란이 확대되자 광주시교육청도 인화학교 처리 과정의 미숙을 사과하며 긴급대책반을 구성했다. 광주시교육청은 27일 감사, 인사 등 7개 부서 담당자로 가칭 ‘인화학교 성폭력사건 대책반’을 꾸려 이 학교에 대한 전방위적인 감사와 점검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 교육청은 또 장애학생을 위탁교육하는 이 법인에 대해 위탁을 취소하는 방안도 강구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 사건이 6년 전에 발생한 데다 사실상 사법처리가 마무리된 상황에서 최근 영화가 이슈화되자 뒤늦게 대책반을 구성하는 등 법석을 떠는 것은 전형적인 전시성 행정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현재 추진 중인 공립 특수학교(선우학교)가 2013년 3월 개교하면 이곳에 청각장애학생을 수용해 자연스럽게 인화학교 위탁교육 취소를 유도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광주=류송중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