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경제림 가꾸고 도시숲 조성… 2050년엔 탄소 3400만t ‘흡수’ [탄소흡수원, 산림을 키워라-그린라이프]

관련이슈 세계뉴스룸

입력 : 2021-06-11 06:00:00 수정 : 2021-06-10 19:14:4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中) 탄소중립의 핵심 과제 ‘나무 심기’

매년 평균 1억 그루씩 30억 그루 심을 계획
경제림 노령목 베고 새로 26억 그루 식수
‘베고 쓰고 심고 가꾸는’ 산림 선순환 구축
4억 그루는 도시숲·北 산림 지원에 투입

환경단체 “산림파괴·환경 훼손 우려” 제기
산림청 “쟁점안 재검토… 9월쯤 최종 확정”
광주광역시에 조성된 도시숲. 공장지대와 도로 옆에 넓게 조성돼 미세먼지를 흡수한다.

나무 심기는 탄소중립의 한 축인 탄소 흡수 부문의 핵심이다. 산림청이 지난 1월 ‘탄소중립 산림부문 추진전략안’을 발표하면서 ‘2050년까지 30억그루의 나무 심어 탄소 3400만톤 줄인다’를 타이틀로 내세운 이유다.

앞으로 30년간 30억그루를 심으려면 1년에 평균 1억그루를 심어야 한다. 지난해 산림청이 전국에 심은 나무는 5000만그루였으니 앞으로 양을 두 배로 늘리겠다는 것이다. 한정된 땅에 그 많은 나무를 심는 것이 어떻게 가능할까.

◆베고·쓰고·심고·가꾸는 산림 선순환

보통 나무는 1㏊에 3000그루가량 심는다. 단순히 계산하면 30억그루를 심는 데 100만㏊, 즉 1만㎢가 필요하다. 이는 서울 면적(605.2㎢)의 17배에 달하는 크기다.

그렇다고 서울 17배의 새로운 숲이 생겨나는 것은 아니다. 30억그루 중 26억그루는 이미 조성된 경제림 몫이다.

경제림은 국산 목재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지정하는 숲으로 현재 234만㏊ 지정돼 있다. 경제림 내에서 나무를 키워 수확하고 다시 심는 나무 농사를 통해 30년간 26억그루를 새로 식재할 수 있을 것으로 산림청은 추산했다.

이 대목에서 어린나무를 심기 위해 오래된 나무를 베어내는 것에 대해 환경단체 등에서 거센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에 산림청은 노령화되거나 병든 나무를 수확하고 어린나무를 심어 1년생 나무부터 100년생 나무까지 공존하는 건강한 숲을 조성하는 동시에, 베고-쓰고-심고-가꾸는 산림 선순환 시스템을 확립해 목재 자급률을 높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연간 벌채 면적을 현재 2만4000㏊에서 2050년 3만㏊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벌채율은 0.5%로 유지된다.

산림청은 “매년 평균 2%의 숲이 새로 조성되고 0.5%가 줄어 결국 1.5%가 늘어나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산림 경영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보호림 지정은 현재 167만㏊에서 점차 확대한다. 산림을 경제림과 보호림으로 구분해 보호가치가 높은 산림과 숲은 철저히 지키고, 경제림은 탄소흡수와 목재공급을 위해 적극 활용하겠다는 전략이다.

물론 경제림 활용에 있어 환경파괴를 최소화하고 목재순환 시스템을 선진화하는 것은 큰 과제다.

김영환 산림과학원 박사는 “목재 수확 시 해당 구역의 나무를 다 베어버리는 모두베기를 하면 환경과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산림전문가들도 인정하는 사실”이라며 “임업 선진국에서도 솎아베기 등 친환경 벌채를 확대하고 있는 만큼 한국도 환경 훼손이 적은 목재수확 방식을 도입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도시숲’ 조성하고 국외 탄소흡수에 기여

경제림에 26억그루를 심어도 목표까지는 4억그루가 더 필요하다. 그중 1억그루는 도시숲과 섬 지역 및 유휴토지에 투입된다.

도시숲은 숲의 이로움을 도시인들이 누릴 수 있도록 도심 가까이에 조성하는 숲이다. 산림청이 수년간 준비해온 역점 사업이기도 하다. 10일 ‘도시숲 등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도시숲법)이 시행됨에 따라 산림청은 본격적으로 도시숲 조성에 나선다.

도시의 남는 땅에 나무를 심는다고 모두 도시숲이 되는 건 아니다. 도시숲은 목표와 기능에 따라 조성된다.

미세먼지 저감을 목표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숲, 더운 공기를 내보내고 산에서 생성된 시원한 공기가 도심으로 흐를 수 있도록 돕는 도시바람길숲, 도시민들의 힐링을 위한 실내외 정원, 아동 친화적인 자녀안심 그린숲 등이 있다. 산림청은 지자체, 국토부 등과 협력해 지역 특성에 맞는 도시숲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섬 지역 생태복원 사업과 환경개선 사업을 추진하는 데도 조림이 필요하다. 한계 농지(농식품부 협업), 하천·도로변(국토부·환경부 〃) 등에 나무 심기를 통해서도 탄소흡수원을 확대한다.

나머지 3억그루는 북한에 심을 계획이다.

산림청은 북한 황폐산림(147만㏊) 복구를 지원한다는 계획을 이미 2018년 남북 실무회담 당시 의제로 발굴해 제안한 바 있다. 산림청은 북한 산림 복구에 쓸 묘목을 기르기 위해 북한과 가까운 고성, 파주, 철원에 양묘센터를 설치해 운영 중이다. 실행 가능성은 불투명하나 통일시대 대비를 위해 필요하다는 것이 산림청 입장이다.

산림청 탄소중립 추진 전략안에는 나무 30억그루 식재 외에 ‘개도국 황폐화 방지사업’(REDD+)을 통한 탄소흡수 방안도 담겼다. 한반도 나무 심기(2900만t)와 해외 산림협력(500만t)이 현 구상대로 진행되면 2050년에는 3400만t 규모의 탄소흡수에 기여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하지만 이런 구상은 강한 반발에 부딪혔다. 환경단체들은 산림파괴를 우려하며 경제림 면적과 벌채량을 대폭 줄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산림청은 관계 기관 및 단체와 탄소중립 전략안을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환경단체와 환경전문가, 임업단체와 산림전문가 등으로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며 “나무 식재 규모, 벌채율 등을 재검토하고 다듬어 9월쯤 탄소중립 전략안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희원 기자 azahoi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