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4·19혁명 60주년 관련 유산, 문화재에 오른다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0-04-09 13:00:00 수정 : 2020-04-09 09:38:0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4·19 혁명 당시 시위대의 행진 모습. 세계일보 자료사진

1960년 3월 15일 4대 정·부통령 선거에서 자유당이 반공개 투표, 투표함 바꿔치기 등 대대적인 부정을 자행한 것이 드러나자 민심은 폭발했다. 불법적 조치를 동원해 장기 집권을 이어가던 이승만 정권에 대한 불만이 전국적인 시위로 표출된 것이다. 시민, 학생들은 ‘이승만 하야와 독재정권 타도’를 외쳤다. 정권은 폭력으로 대응했다. 시위에 참여했던 학생들에게 곤봉을 휘둘렀고, 정치깡패까지 동원해 무차별적 폭행을 일삼는 것까지 서슴지 않았다. 또 계엄을 선포해 ‘폭동세력’을 색출하겠다고 나섰고 야간 통행금지, 학생들의 등교 금지 등의 조치를 취하며 국민을 통제하고, 탄압했다. 정권 연장을 위한 마지막 몸부림은 사뭇 처절했으나, 잘 알려져 있듯이, 이승만의 하야로 ‘4·19혁명’은 완수됐다. 

 

시민의 힘으로 최고권력자와 그 일당들을 몰아내며 우리 역사의 첫 ‘성공한 혁명’으로 기록된 4·19혁명. 당시의 치열한 현장의 상황을 증언하는 관련 자료들의 문화재 등록이 추진된다. 민주화 운동과 관련된 문화유산이 문화재로 정해지는 건 처음이다. 

 

문화재청은 4·19혁명 60주년을 맞아 ‘4·19혁명 참여 고려대학생 부상자 명단’(3종)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수집자료’(9종),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수집자료’(19종) 3건을 국가등록문화재에 올리는 것을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대상 유산 3건을 정하는 과정에서 문화재청은 자치단체 및 유관기관의 추천을 통해 179건의 유물을 발굴했고, 문화재선정자문회의를 통해 ‘고려대학교 4.19의거 부상학생 기록물’,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수집자료’, ‘허종 기자 촬영 김주열 열사 사진’, ‘자유당 부정선거 자료’, ‘이승만 사임서’, ‘마산지역 학생일기’, ‘내가 겪은 4·19데모(동성고 학생들의 4·19 시위 참여 경위가 기술된 동성고 이병태 학생의 일기)’ 7건을 등록 우선 추진대상으로 정했다.

 

현장조사를 해 먼저 문화재로 등록되는 3건은 4·19혁명 당시 현장 상황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고려대학생 부상자 명단. 문화재청 제공

4·19혁명 참여 고려대학생 부상자 명단은 ‘4·18 고려대 데모’를 중심으로 시위에 참여한 고려대학생 부상자 명단 초안 2종과 이를 정리한 정서본 1종이다. 안암동, 천일극장앞, 국회의사당, 종로3가, 동대문경찰서 앞 등의 시위 현장에서 입은 피해를 “곤봉 엇개 맞다”, “깡패에 다리 부상 7일 치료”, “머리 터지다”, “천일백화점 근처에서 깡패의 몽둥이로 후두부를 맞고 失神(실신)” 등의 표현으로 기록했다.  ‘4.19 의거 시 부상한 학생’이란 제목의 정서본은 초안의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재정리했다. 문화재청은 “4월 18일 국회의사당까지 시위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정치깡패의 습격을 받은 상황과 4·19 시위 당시 폭행 장소 및 부상 정도 등 정황을 상세하게 알 수 있는 자료”라고 설명했다. 

연세대 4월혁명연구반의 설문 조사서. 문화재청 제공

연세대 4월혁명연구반 수집자료는 4·19 혁명 당시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4학년 학생 주도로 ‘4월혁명연구반’이라는 조사반을 구성하여 작성한 구술기록 자료다. 서울, 대구, 부산, 마산에서 시위를 목격한 이들의 증언을 모으고, 교수들이 참여한 시위의 실태 등을 설문조사했다. 정치에 대한 관심, 당시의 심정 등을 물어 조사 대상별 정치의식·사회의식 등이 구체적이며 사실적이다. 문화재청은 “특히 ‘데모사항조사서’를 보면 동기, 경과, 충돌 상황 등을 매우 자세하게 기록했다. 대구 2·28 및 마산 3·15 시위 참여자를 대상으로 구술 조사하여 현재까지 유일한 자료”라고 소개했다.  

 

연세대 4월혁명연구반 수집자료는 4월혁명연구반에서 관련 기관에 의뢰하여 수집한 원본 자료다. 비상계엄포고문, 훈시문, 공고문 등 모두 19종으로 구성돼 있다. 계엄령이 내려진 것은 1960년 4월 19일 오후 5시. 이후 집회해산, 등교중지, 통행금지, 언론 및 출판 통제 등의 조치가 이어졌다. 해당 자료는 이런 당시의 사회상과 국가의 국민 관리 및 통제 내용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문화재청은 “민주화 관련 유산은 아직 시간이 많이 경과하지 않아 문화재로 인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며 “학술대회 등을 통해 현대유산의 문화재적 가치와 보존 방안을 논의하고 민주화 문화유산의 중요성을 알리겠다”고 밝혔다. 

 

강구열 기자 river910@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