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중국 증시 활황에… 돌아온 ‘중학 개미’들 빅테크 베팅

입력 : 2025-08-27 20:15:00 수정 : 2025-08-27 20:09:34
박미영 기자 mypark@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中 정부 주도 첨단 산업 육성책 이어져
상하이 종합지수 10년 만에 최고치 경신
국내 투자자들 샤오미·텐센트 집중 매수
일각 고평가 우려 “과도한 낙관엔 유의”

최근 중국 증시가 활황세를 보이면서 중화권 주식에 투자하는 ‘중학 개미’들이 늘고 있다. 샤오미, 텐센트 등 홍콩 증시에 상장된 중국 빅테크 기업들의 약진과 중국 정부 주도의 첨단 산업 육성 정책이 이어지면서, 중국 주식에 대한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중국 대표 증시인 상하이 종합지수가 10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고공행진을 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고평가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상하이증권거래소 신관. AFP연합뉴스

27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SEIBro)’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25일까지 국내 투자자들은 중국 상하이 증시에서 413만달러(57억6506만원), 선전 증시에서 684만달러(95억4795만원)어치를 순매수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투자자들이 상하이 증시를 순매수한 것은 지난 2월 이후 처음이고, 선전 증시도 지난 5월 이후 3개월 만이다.

이처럼 중학 개미들이 늘어난 이유는 최근 중국 주식이 강세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부동산 경기 침체와 2023~2024년 홍콩 H지수 연계 ELS(주가연계증권) 대규모 손실 사태 등을 겪으며 국내 투자자들의 중화권 투자 심리가 크게 위축됐지만, 최근 홍콩 증시 랠리를 시작으로 중국 빅테크 기업의 약진과 함께 딥시크를 내세운 중국 인공지능(AI) 기술이 주목을 받으며 중국 증시까지 활황이 이어졌다.

이날 중국 대표 증시인 상하이종합지수는 전장 대비 68.03포인트(1.76%) 내린 3800.35에 장을 마감했다. 지난 25일에는 3883.56으로 장을 마감하며 2015년 8월7일(3744) 이후 10년 만에 최고기록을 갈아치웠으며, 이달 들어서만 네 번째 최고치를 경신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로 주가가 급락했던 지난 4월7일(3096)과 비교하면 20%나 오른 수준이다.

중학 개미들은 이달 들어 중국 대표 빅테크 기업인 샤오미와 텐센트를 집중적으로 사들였다. 순매수 금액 1위는 샤오미로 3298만달러를 순매수했고, 뒤를 이어 텐센트를 1390만달러어치 사들였다.

중국 정부가 첨단 산업을 집중 육성하면서 당분간 중국 증시는 호조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특히 부동산 대출 규제로 늘어났던 예금의 금리가 1% 아래로 떨어지면서, 이 자금이 주식으로 유입되는 머니무브가 증시 강세에 힘을 보탤 것이라는 관측이다.

신승웅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주식시장 강세로 가격 부담이 커졌지만 머니무브에 기반한 추세 상승 흐름은 지속될 것으로 본다”라며 “안전자산에 쌓인 초과 유동성이 주식시장으로 이동한다면 단기 반등을 넘어 구조적 강세장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박주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최근 2개월 주가 강세로 인해 중국 9·3 전승절 전후 차익실현 매물 출회 가능성이 존재하나 10월 4중전회를 앞두고 15차 5개년 계획 관련 기대감이 중화권 증시 내에서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라며 “다만 중국 본토 증시 기준 이익 개선의 추세적 전환이 아직 확인되고 있지 않아 과도한 낙관에는 유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미영 기자 mypar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이주빈 '깜찍한 볼콕'
  • 신은수 ‘심쿵’
  • 서예지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