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유아 사이에서 수족구병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27일 올해 33주차(8월 10∼16일) 수족구병 의심 환자가 외래환자 1000 명당 26.7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1주 전(22.1명)보다 증가한 수치다. 특히 0∼6세 영유아에서는 1천 명당 36.4명이 증상을 보여 환자 발생이 집중되고 있다.
수족구병은 장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이다. 환자의 침, 콧물, 대변 등 분비물과 접촉하거나 오염된 물건을 통해 전파된다. 손과 발, 입안에 수포성 발진이 생기고, 발열·식욕 부진·구토·설사 등이 동반된다. 대부분 7∼10일 이내 회복되지만, 드물게 뇌수막염·뇌염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질병청은 △생후 6개월 미만 △2일 이상 고열 지속 △수분 섭취 곤란 등 증상이 나타날 경우 반드시 의료기관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 등 개인위생 관리가 최선이다. 어린이집·유치원 등 집단시설에서는 장난감, 놀이기구, 문 손잡이 소독을 철저히 하고, 발열이나 발진이 있는 아이는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등원을 자제해야 한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영유아 보육시설에서는 수족구병 환아가 충분히 회복된 뒤 등원하도록 안내해 달라”고 당부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