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전쟁부의 부활 [김태훈의 의미 또는 재미]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 김태훈의 의미 또는 재미

입력 : 2025-08-27 15:35:48 수정 : 2025-08-27 15:35:47
김태훈 논설위원 af103@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현재 대한민국 중앙정부에는 기획재정부부터 중소벤처기업부까지 19개의 부(部)가 있다. 이들 가운데 1948년 정부 수립 때의 이름을 그대로 간직한 곳은 법무부와 국방부 둘 뿐이다. 지난 80년 가까운 기간 동안 외무부는 외교부로, 내무부는 행정안전부로 바뀌는 등 거의 모든 부처가 간판을 바꿔 달았으나 법무부와 국방부는 건재하다. 그러다 보니 우리 국민은 국방부를 ‘아주 오래된 정부 부처’라고 여기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전 세계적으로 보면 국방부라는 명칭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야 등장한 신조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 트럼프는 헤그세스에게 국방부 이름을 옛 전쟁부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UPI연합뉴스

2차대전에서 연합국을 이끈 미국은 전쟁부(Department of War)란 부처를 갖고 있었다. 미국 독립 직후인 1789년 생겨난 조직이다. 2차대전 당시 미국에 독립한 공군은 아직 없었고 육군 항공대가 있었다. 전쟁부의 임무는 육군 그리고 육군 항공대를 지휘하는 것이었다. 전쟁을 육군 혼자 치르는 것은 아니라서 전쟁부 창설 후 9년이 지난 1798년 전쟁부와 별개로 해군부(Department of the Navy)가 세워졌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해군 및 해병대를 관할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2차대전을 미국의 승리로 이끈 것은 바로 전쟁부와 해군부였다.

 

전후 미군은 육·해·공군의 합동성 강화 필요성에 눈을 떴다. 2차대전 기간 각군이 저마다 공을 세우려고 혈안이 된 가운데 서로 더 많은 무기, 더 많은 군수 물자를 확보하려고 경쟁하는 통에 중복 투자와 그로 인한 예산 낭비가 심각했다는 반성의 목소리가 커졌다.

 

이에 미국은 기존의 전쟁부 및 해군부를 폐지하고 이를 통합해 1949년 국방부(Department of Defense)라는 조직을 새로 만들었다. 서방의 다른 군사 강국인 영국·프랑스도 마찬가지였다. 육군을 관할하던 전쟁부를 없애고 육·해·공 3군을 통합 지휘할 국방부를 신설한 것이다.

옛 미국 중앙정부 부처인 전쟁부의 상징. 1789년 창설 이후 한동안 육군을 관할했고 나중에는 육군 항공대(공군의 전신)까지 지휘했다. 2차대전 이후 지금의 국방부로 개편됐다. 위키피디아 제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5일 국방부의 명칭을 옛 전쟁부로 환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트럼프는 이날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과 대화하는 도중 “왜 우리가 방어(defense)만 해야 하느냐”며 “공격(offense)도 원한다”고 말했다. 이어 “전쟁부가 훨씬 강한 이름”이라며 “전쟁부였을 때 우린 두 차례 세계대전은 물론 모든 전쟁에서 이겼다”고 덧붙였다. 국방부의 이름으로 수행한 6·25 전쟁과 베트남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등에서 미군이 거둔 성과가 만족스럽지 않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가뜩이나 세계 제1의 군사 대국인 미국에 ‘전쟁부’란 이름의 부처가 부활하면 가뜩이나 전쟁으로 신음하는 지구촌에 더 많은 전쟁이 일어나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러울 따름이다.


김태훈 논설위원 af103@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이주빈 '깜찍한 볼콕'
  • 신은수 ‘심쿵’
  • 서예지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