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정당과 대화 안 하겠다는 정청래, 침묵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27일 “과거의 옷을 벗고 미래로 나가야 할 시간”이라며 “지금까지 보여드리지 못한 새로운 국민의힘의 모습을 보여드리겠다”고 밝혔다. 전당대회 과정에서 강조했던 ‘찬탄(탄핵 찬성)’ 청산에 속도 조절하겠다는 메시지로 해석됐다.

장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전당대회 과정에서 당원과 국민들이 보내주신 민심은 야당답게 거대 여당을 견제하고, 이재명 정권을 제대로 견제하며 유능한 모습을 보여달라는 것”이라며 “국민들께서 공감할 대안을 제시하고 민생을 제대로 해결하는 민생 정당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의힘의 당원 모두가 하나가 돼서 앞으로 전진해야 한다”며 “그 맨 앞에 제가 서겠다. 우리 지도부가 함께 서서 앞으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첫 공식 일정으로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아 참배했다. 장 대표는 참배 후 찬탄파 주자였던 조경태 의원이 자신을 겨냥해 “대놓고 윤어게인을 외치는 세력이 존재하는 한 국민의힘은 내란당의 오명을 벗기 어렵다”고 말한 것에 대해 “일일이 대응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당대회를 마치고 미래로 나아가자고 얘기했다. 그것이 맞는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또 친한(친한동훈)계의 분당설이 제기되는 것과 관련해 “정가에서 떠도는 이런저런 얘기에는 관심을 두지 않고 지금 국민의힘이 해야 할 일을 하겠다”고 했다.
이런 모습을 놓고 장 대표가 전당대회 과정에서 민주당의 내란 프레임에 동조하는 인사를 “내부 총질 세력”으로 규정하고 “함께 갈 수 없다”고 수차례 강조했던 모습에 비해 결이 달라졌단 평가가 나온다. 윤 전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당론을 어기고 찬성표를 던진 의원들에 대해 사후적으로 책임을 묻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강성 반탄’ 성향의 제1야당 대표가 선출된 것에 대해 이날도 별다른 평을 내놓지 않았다. 정 대표는 현충원 참배 소감을 밝힌 뒤 장 대표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가겠습니다”라며 자리를 떠났다. 정 대표는 국민의힘을 내란 정당으로 규정하면서 계엄 사태에 대한 사과나 반성이 없으면 야당으로 인정하지 않고 대화하지 않겠다고 천명한 바 있다.
반면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공식적인 야당의 대표가 법적 절차를 거쳐 선출되면 당연히 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가 당내에서 ‘윤어게인’ 인사로 보는 장 대표의 선출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 것은 여야 관계 설정을 고민 중인 게 아니냐는 해석이 일각에서 나온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