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은 위안부 문제 언급된 점 주목
주한미군·북핵 해법 부재 지적도
미국 전문가와 주요 매체들은 25일(현지시간)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우려를 딛고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진행됐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직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숙청 또는 혁명’을 거론하며 쓴 게시글로 긴장감이 감돌았지만, 북·미 정상회담 재개 등 두 정상이 비교적 의견 일치를 이루기 쉬운 주제로 재빠르게 전환하면서 마찰을 피했다는 것이다.
웬디 커틀러 아시아소사이어티정책연구소(ASPI) 부회장은 언론 입장문을 통해 “이 대통령이 기회가 있을 때마다 트럼프를 칭찬하며 강력하고 역동적인 동맹 관계를 효과적으로 강조했다”며 “회담을 잘 준비해온 듯 보였다”고 평했다.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도 “이 대통령은 리모델링한 오벌오피스와 미국 경제에 대한 관리능력을 칭찬하고 한반도에 새로운 평화 시대를 여는 데 도움을 줄 것을 요청하며 초청자 측(트럼프 대통령)을 돋보이게 했다”고 짚었다.

이 같은 접근법은 교역·안보를 축으로 한·미동맹을 강화하려는 이 대통령의 포괄적 목표 수행에 기여했으나,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이나 북한 비핵화 설득 방안 등 까다로운 주제에 관해서는 구체적 해법이 제시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일본은 트럼프 대통령이 연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겠다는 의지를 밝히는 한편 위안부 문제를 언급하며 한·일 관계 개선을 촉구한 데 주목했다.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26일 기자회견에서 “한·미 협력 강화와 한·미·일 3국 공조 중시 방침이 확인됐다”며 “지역 평화와 안정에 의의가 있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아사히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칭하고 있어 (향후 북·미 대화 과정에서) 북한 핵·미사일 위협이 묵인될 우려도 높아진다”고 전망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 기지 토지 소유권’을 언급한 것을 두고 그린란드, 파나마운하, 가자지구에까지 관심을 보였던 ‘확장주의적 사고’의 연장선이라며 이 대통령이 무거운 짐을 안게 됐다고 짚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