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자산 투자도 팬데믹 이후 최악
실업률 상승·부동산 하락 등 적신호
무역갈등 지속 성장동력 상실 평가
중국의 7월 산업생산과 소매판매, 고정자산 투자 등 경제지표들이 올해 가장 부진한 수치를 보이면서 경기 부양책 압박이 커지고 있다고 16일 블룸버그통신 등이 보도했다.
전날 중국 국가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중국의 지난달 산업생산, 소매판매, 고정자산 투자 등 경제지표들이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다. 중국 경제를 수년간 견인해 온 산업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5.7% 증가해 지난해 12월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내수 경제지표인 소매판매는 지난달 3.7% 늘어나는 데 머무르면서 지난해 1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또 농촌을 제외한 공장, 도로, 전력망, 부동산 등에 대한 자본투자 지표인 1∼7월 고정자산투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증가하는 데 머물렀다.

이코노미스트 추산치에 따르면 중국의 7월 고정자산투자는 전년 동월 대비 약 5.3% 줄어들면서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1∼2월 이후 최악의 수치를 기록했다. 7월 전국 도시 실업률 평균은 5.2%로 전월 대비 0.2%포인트 상승했고, 신규주택 가격도 당국의 부동산 시장 안정화 대책에도 하락세를 이어갔다.
외신들은 7월 경제지표가 중국 경제가 광범위하게 둔화하고 있는 신호라고 분석했다. 중국은 올해 상반기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유예기간 선(先) 수요 효과로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하는 등 양호한 성적을 냈다. 하지만 중국은 하반기 들어 본격적인 무역 갈등을 맞이하면 성장 동력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강하다.
게다가 중국은 부진한 내수를 진작시키는 것과 과잉생산을 줄이기 위한 구조조정도 해야 하는 복잡한 상황이다. 이 같은 대내외 리스크로 인해 중국 당국이 부양책을 앞당겨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롭 숩바라 노무라증권 아시아담당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은 하반기에 새로운 지원 조치 발표를 서두를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분석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