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매일 먹는 ‘이 음식’만 끊어도 암 발병률 45% 줄어든다

관련이슈 이슈플러스

입력 : 2025-08-15 05:00:00 수정 : 2025-08-15 06:47:54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고기 줄이면 암 위험 뚝↓”…8만명 추적 연구에서 최대 45% 감소 효과 보였다

대장암·위암 예방 효과 두드러져…비건 식단, 전립선암·유방암 발병 위험도 낮춰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 육류를 끊고 채식 중심의 식단을 유지하면 암 발병 위험을 최대 4분의 1 수준까지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위암과 대장암 예방 효과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연구는 미국 캘리포니아 로마린다 대학교(Loma Linda University) 연구진이 수행했다. 북미 지역 약 8만명을 8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다. 논문은 권위 있는 학술지인 미국 임상영양학저널(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에 최근 게재됐다.

 

◆전반적 암 발병률 12% 감소…일부 암종은 최대 45%↓

 

15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채식주의자들은 육류를 주 1회 이상 섭취하는 사람들보다 전반적인 암 발병률이 12% 낮았다.

 

식습관 변화만으로도 암 예방에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게티이미지

그중에서도 흑색종, 갑상선암, 난소암, 췌장암, 위암, 림프종 등 이른바 ‘중간 빈도 암’의 발병 위험은 18% 감소했다.

 

암 종류별로 채식의 보호 효과는 더욱 명확하게 나타났다. △위암 발병률은 최대 45% 감소 △림프종 발병 위험 25% 감소 △대장암 발병률 21% 감소했다.

 

연구진은 채식 식단을 3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 △동물성 식품을 전혀 섭취하지 않는 ‘비건(Vegan)’ △고기와 생선은 제외, 유제품과 계란은 섭취하는 ‘락토-오보 베지터리언(Lacto-Ovo Vegetarian)’ △육류는 피하되 일부 해산물은 섭취하는 ‘페스카테리언(Pescatarian)’이다.

 

이 중 비건 그룹은 전반적인 암 발병 위험이 24% 감소,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 젊은 남성 비건은 전립선암 발병 위험이 43% 낮았다. 젊은 여성 비건은 유방암 발병 위험이 31% 감소했다.

 

연구진은 이에 대해 “우유 섭취가 전립선암과 유방암 모두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락토-오보 베지터리언은 혈액암 위험이 낮았고, 페스카테리언은 대장암 발병률이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다만 신경계 암, 자궁암, 골수성 혈액암 등 일부 암종은 식물성 식단과의 뚜렷한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채식주의자들은 일반적으로 음주나 흡연 빈도가 낮고, 운동량이 조금 더 많았다. 체질량지수가 낮은 경향이 있다. 연구진은 이 같은 생활습관 요인들을 통계적으로 보정했음에도 암 발병률 차이가 유의미했다고 밝혔다.

 

정부 차원의 식습관 개선 캠페인, 영양 교육이 필요하다. 게티이미지

연구진은 “생활습관 차이가 암 발병 위험에 일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특히 연구진은 대장암 발병 증가와 관련해 식물성 식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소화기관은 음식물, 그 대사산물, 장내 세균의 대사산물과 직접 접촉하는 기관”이라며 “식물성 식단이 위암과 대장암 예방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가공육은 위암과 대장암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며 “감귤류 과일, 채소, 통곡물 섭취는 보호 효과를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 “식습관 변화만으로도 암 예방 가능성 보여줘”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장기간 대규모 집단을 추적한 신뢰도 높은 분석”이라며 “식습관 변화만으로도 암 예방에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이어 “모든 사람이 완전한 비건이 될 필요는 없지만, 육류 섭취를 줄이고 식물성 식품 위주로 식단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암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젊은 층에서 급증하는 대장암 발병률을 줄이기 위해 국가 차원의 식습관 개선 캠페인과 영양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엄정화 '반가운 인사'
  • 이엘 '완벽한 미모'
  • 조여정 ‘아름다운 미소’